문현금융단지·북항 일대 25만㎡ 규모 금융특구 조성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산자부에 지정 신청서 제출
산은 등 금융기관 20곳 이전 담아
3500억 규모 투자 계획도 포함
상반기 지정 기대 후속 작업 속도

부산시가 최근 정부에 남구 문현금융단지와 북항 일대를 금융기회발전특구로 조성하고 대형 금융기업을 유치하는 밑그림을 제출했다. 문현금융단지 일대. 정종회 기자 jjh@ 부산시가 최근 정부에 남구 문현금융단지와 북항 일대를 금융기회발전특구로 조성하고 대형 금융기업을 유치하는 밑그림을 제출했다. 문현금융단지 일대. 정종회 기자 jjh@

부산시가 문현금융단지와 북항을 아우르는 25만㎡ 규모의 금융기회발전특구(이하 금융특구)를 조성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정부에 금융특구 지정 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청서에는 금융특구를 이끌 대형 금융 기업들의 부산 이전, 대규모 투자 계획도 포함됐다.

2일 〈부산일보〉 취재진이 입수한 ‘부산시 금융기회발전특구 계획(안)’에 따르면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에 북항 2단계 재개발 사업 부지(22만 1000㎡), 문현금융단지 일대 부지(2만 7000㎡), 부산진구 전포동 국방부 유휴부지 6000㎡ 등 문현동·북항 일대 25만 4000㎡ 부지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 요청했다. 신청서에서 시는 기존 문현금융단지와 새로 조성할 금융특구가 시너지 효과를 내 부산을 디지털 금융, 해양·파생 금융, 정책 금융중심지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시는 금융특구에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하는 산업은행을 필두로 오는 10월 개소하는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수도권에서 이전하는 기업 최소 20곳을 유치하겠다고 청사진을 밝혔다. 신청서에는 북항 2단계 지역에 IT기업인 세종텔레콤, 코스콤의 이전 계획과 BIFC 3단계에 BNK자산운용, BNK벤처투자 등 투자 기관의 이전 계획도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최대 3500억 원 규모로 금융특구에 투자를 계획 중인데 투자 계획서도 신청서에 담겼다.

이전을 계획 중인 금융기업의 특징은 디지털 금융, 지역 산업 기반 정책금융 지원이 가능한 기관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코스콤은 한국거래소를 모회사로 둔 자회사로 한국거래소의 전산 시스템과 파생상품 등을 관리한다. 시는 부산디지털거래소가 본궤도에 오르고 한국거래소·코스콤·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가 부산의 디지털 금융을 이끌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산업은행·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 집행 기관들이 모여 시의 전략 산업인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디지털헬스케어 등의 발전에도 직접적인 자금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시는 금융특구 조성으로 2033년까지 12조 5000억 원의 부가가치와 11만 명에 달하는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시가 금융산업을 첫 특구 산업으로 선정한 데는 금융산업이 여타 산업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기반 산업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시는 이번 특구 신청에서 다른 지역은 특정 산업 중심의 발전 계획을 담았지만, 부산은 금융을 중심으로 여타 전략 산업의 발전 방안을 담았다. 금융산업 중심으로 관련 기관, 기업을 모으고 이를 통해 도시 체질을 바꾸는 청사진은 다른 지역의 산업형 특구와는 차별점을 지닐 것으로 보인다.

이번 특구 지정에 대구시는 이차전지 양극재 공장,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조성, 전남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조성, 경북은 반도체 웨이퍼 공장 중심의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각각 신청했다. 기회발전특구는 윤석열 정부의 12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비수도권에 특구를 지정하고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경우 정부가 파격적인 지원과 규제 특례를 제공하는 제도다. 특구 지정은 지자체와 기업이 협약을 체결해 특구 지역을 신청하면 지방시대위원회가 심의·의결하고 산업부가 최종 지정한다.

시는 1차 특구 지정이 상반기 중 이뤄질 것으로 보고 금융특구 지정 이후 전력반도체특구, 이차전지·모빌리티특구, K콘텐츠 특구, 바이오·헬스 특구, 해양디지털 산업 특구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시 김효경 금융블록체인담당관은 “금융특구를 중심으로 지역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밑그림을 그린 특구의 핵심이다”며 “특구 지정으로 싱가포르, 두바이 등 글로벌 금융중심지 수준의 세제 혜택, 규제 완화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