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쥐어짜는 통증, 쉬면 괜찮다고 방치하면 돌연사 위험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협심증, 치료와 예방 어떻게]
가슴 중앙 압박감, 상반신 퍼질 수도
신체 활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발생
혈관 완전히 막히면 심근경색증 발전

심장 CT·관상동맥 조영술 진단 정확
약물과 스텐트 삽입 등 수술로 치료
식단·운동 등 개선해 관리·예방해야

해운대부민병원 심혈관센터 김정수 센터장이 협심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해운대부민병원 제공 해운대부민병원 심혈관센터 김정수 센터장이 협심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해운대부민병원 제공

심장 질환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다. 절반 이상이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으로 대표되는 허혈 심질환이다. 이 중 협심증은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할 경우 사망 위험이 더 높은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적절하게 관리하고 예방한다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하다. 해운대부민병원 심혈관센터(김정수 센터장, 정상렬 의무부장, 서광원 과장)의 도움말로 협심증의 치료와 예방법을 알아 본다.


팔·목·턱·등이 아플 수도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협착되거나 폐쇄돼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한다. 주된 원인은 동맥경화로, 동맥 내부에 지방,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이다. 혈관 내 협착이 어느 정도 이상 진행되면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고, 심장이 요구하는 산소의 양이 공급량을 초과할 때 산소 부족으로 심근 허혈이 일어나면서 가슴 통증이 생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협심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70만 5259명으로, 2018년 66만 5070명에 비해 6% 증가했다. 전체 환자 중 남성이 60.9%(42만 9437명)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60대(33.4%), 70대(31.4%), 80대(16.9%) 순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흉통이다. 가슴 중앙에 압박감, 답답함, 쥐어짜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팔, 목, 턱, 등 또는 상복부로 퍼질 수 있다. 특히 신체 활동을 하거나 감정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장이 더 많은 산소를 요구할 때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안정을 취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운동을 할 때 흉통이 발생하고 쉬면 호전되는 상태를 안정 협심증이라고 한다. 안정 시에도 흉통이 나타나는 불안정 협심증, 운동과 무관하게 동맥의 경련으로 발생하는 이형(변형) 협심증도 있다. 안정 협심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서 불안정 협심증을 거쳐서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관상동맥이 갑자기 완전히 막혀서 혈액이 통하지 않는 급성 심근경색증은 초기 사망률이 약 30%에 달한다.

해운대부민병원 김정수 심혈관센터장은 "협심증은 근본 원인인 관상동맥의 협착이 완전히 해결되기 어렵고, 생활습관의 변화와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동맥경화증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재발 비율도 높다"고 설명했다.

협심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통증이다. 가슴 중앙에 압박감이나 답답함, 쥐어짜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주로 발생한다. 이미지투데이 협심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통증이다. 가슴 중앙에 압박감이나 답답함, 쥐어짜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주로 발생한다. 이미지투데이

■개인별 맞춤 치료 선택

협심증 진단에는 전통적으로 운동 전과 도중, 후에 연속적으로 심전도와 혈압을 측정해 관찰하는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가 널리 사용된다. 심장 CT 검사와 관상동맥 조영술은 더 정확도가 높다. 김정수 센터장은 "과거 병력이 없고 기저질환 때문에 심장 질환이 걱정된다면 정기적으로 운동 부하 검사 등 건강 검진을 받으면 된다"면서 "만약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보다 정밀한 검사인 관상동맥 조영술이나 심장혈관을 잘 볼 수 있는 CT 검사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협심증의 치료 목표는 증상 조절과 함께 협착된 혈관을 개선하고 관상동맥 위험 인자를 관리해 심장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심근경색이나 돌연사를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아스피린 같은 다양한 약물 치료가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혈관에 스텐트(그물망) 등을 삽입해 좁아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이나 좁아진 관상동맥을 우회해 혈액을 공급하게 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다.

최근 협심증 치료는 개인별 맞춤 치료와 최소 침습적 시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정수 센터장은 "우선 약물 치료를 해보고 약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검사에서 위험한 부위가 심하게 좁아져 있거나 돌연사 우려가 있다면 약물 치료와 함께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하다"면서 "환자들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활습관 개선은 협심증 치료와 예방 모두에서 핵심이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비만과 관상동맥 질환 가족력 등이 있는 위험군은 더욱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건강한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금연과 적정 체중 유지, 스트레스 관리 등이 포함된다.

해운대부민병원 김정수 심혈관센터장은 "심장 질환이 우려된다면 전문 의료진과 상담해 자신에게 맞는 예방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면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치료 후에도 꾸준히 관리한다면 협심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