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경제권 기반 부울경 메가시티 반드시 추진” [PK 당선인 릴레이 인터뷰]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민주당 김해을 김정호 의원

지역 균형발전 위해 꼭 필요 주장
동북아 물류 플랫폼 구축 공 들여
김해 현안 ‘트램’ 추진 의지 밝혀
창원·부산 연결 교통망 확충 강조
“총선 이후 특정 계파 위축 없을 것”

더불어민주당 경남 김해을 김정호 의원이 지난 22일 <부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정호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경남 김해을 김정호 의원이 지난 22일 <부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정호 의원실 제공

“부울경 메가시티를 반드시 추진하겠습니다.”

22대 총선에서 3선에 성공한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경남 김해을)은 ‘초광역경제권’ 기반의 메가시티가 부울경 발전의 청사진이라고 강조했다. “메가시티 서울은 명분도, 내용도 없는 정책이었지만 부울경 메가시티는 균형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설명이다.

지난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부산일보〉와 만난 김 의원은 부울경 특별연합의 무산이 “아직도 뼈아프다”고 말했다. 부울경 특별연합은 2022년 4월 정부 승인을 받아 2023년 1월 공식 출범 예정이었지만 2022년 6월 지방선거 이후 여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주도로 폐지됐다.

김 의원은 “지방 소멸 위기에 빠진 부울경이 함께 생존하자는 생존 연대가 특별연합이었다”면서 “5년을 공들였지만 국민의힘 출신 부울경 시도지사와 윤석열 정부에 의해 무산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경남 발전의 청사진은 부울경 메가시티를 재추진하는 것”이라며 “메가시티의 경제적 토대로서 항만, 공항, 도로와 철도를 기반으로 하는 동북아 물류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는 부울경 특별연합 청사 유치 대상 지역으로 거론된 바 있고 김 의원은 이번 총선 과정에서 부울경 메가시티 청사를 김해에 유치하겠다고 공약했다.

김 의원은 22대 국회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할 과제도 ‘지역균형발전’이라고 밝혔다. “재선의원을 하는 동안 가덕신공항 건설에 앞장섰던 것도, 이번 선거에서 동북아 물류 플랫폼 구축과 부울경 메가시티 재추진을 공약한 것도 지방이 살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해서였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22대 국회 ‘1호 법안’도 메가시티나 물류 플랫폼 관련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동북아 물류 플랫폼 조성은 여러 부처에 걸친 사업이기 때문에 이를 추진하기 위해선 특별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구인 김해에서 추진할 시급한 지역 현안으로 ‘김해 트램’의 임기 내 착공을 강조했다. 김해 트램은 내외~주촌선과 장유순환선에 설치될 계획이며 김해에서 창원, 부산을 이동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의원은 “부울경 광역교통망은 모두 김해를 통과한다”면서 “경전선과 경부선을 연결하고 복합환승센터를 건설하는 등 교통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3선 고지에 올라 22대 국회에서 상임위원장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21대 국회 후반기에도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으로 거론됐으나 이재정 의원에게 양보한 바 있다. 그는 “22대 국회에선 산자위나 국토교통위원회 등에서 활동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산자위 현안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고준위 특별법) 처리와 관련, 21대 국회 임기 내 처리 가능성에 대해 “신재생에너지 관련법과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준위 특별법을 처리하기 위해선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하는 법안이 함께 처리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고준위 특별법만 처리할 경우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를 줄이는 방식으로 정책이 흘러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고준위 특별법은 현재 가동 중인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의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중간저장시설과 영구처분시설을 건설하는 법적 근거를 담고 있다.

김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낙동강 벨트의 민주당 방어선을 지켜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산에서 민주당 측 낙동강 벨트가 무너졌지만 김 의원과 민홍철 의원(김해갑)이 승리하면서 경남 전체 민주당 의원 수는 유지됐다. 김 의원이 진단한 부산에서의 낙동강 벨트 패배 원인은 ‘샤이 보수의 결집’이었다. “선거 막판 보수층 위기감이 높아졌고 민주당 후보들이 상대적으로 ‘정권심판론’에 집중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원조 친노(친노무현), 친문(친문재인)’으로 분류되는 김 의원은 총선 과정에서 불거졌던 민주당의 공천 갈등에 대해선 “총선 결과를 통해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부분적인 잡음과 갈등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공천이 마무리되면서 갈등은 수습됐다”는 평가다. 그는 총선 이후 친문계 위축에 대해서도 “일부 지역에서 의원들이 재선에 실패했지만 특정 계파의 위축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