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의료 인력 확충”… 의사이자 행정가가 꼽은 당면 과제
부산시 시민건강국 이소라 국장
코로나19 때 시민방역추진단장
공공의료 분야 의사 부족 실감
부산의료원 10명 중 2명만 충원
소아·응급 전문의 못 구해 차질
정부·의료계 지속적 대화 절실
“지역 의료라는 말을 쓴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지역 필수 의료의 중요성을 비로소 알게 됐죠.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정책을 결합해 필수 의료 분야에 의사 수급이 원활하도록 하지 않으면 지역 의료 문제 해결은 요원합니다.”
부산시 시민건강국 이소라 국장은 지난 26일 〈부산일보〉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이 국장은 이화여대 의대를 졸업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출신이다. 1999년 연제구보건소 진료의사로 공공의료에 발을 들여, 금정구·동구·사상구 보건소장을 거쳤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는 부산시 시민방역추진단장으로 취임, 매일 같이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시민에게 시의 팬데믹 대응 사항을 알리는 ‘부산시의 얼굴’이기도 했다.
그는 의사이자 부산시의 보건행정정책을 총괄하는 행정가로서, 현재 의정 갈등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무엇보다 필수 의료나 의사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영역에 유입될 의사 자원이 필요하다”며 “의료인의 측면에서도 본연의 임무에 전념할 수 있는 의료 환경 조성이 필요한 만큼 정부와 의사단체가 입장차를 좁혀나갈 수 있는 지속적인 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의사 수 부족은 부산의 공공의료가 처한 실제 현실이기도 하다. 부산의 대표적인 공공병원인 부산의료원은 전체 병상을 비우고, 22개월 동안 코로나19 팬데믹 전담병원으로 최일선에서 감염병에 대응했다. 팬데믹이 끝나 다시 일반환자를 받기 시작했지만, 떠난 환자가 돌아오지 않는 데다 높아진 의사 몸값을 맞추기 어려워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 국장은 “부산시가 의정 갈등 이후 긴급 투입한 시 재난관리기금 21억 원 중 일부를 부산의료원 의사(내과 전문의·일반의) 10명 신규 채용에 지원했는데, 최근 겨우 2명만 채용이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소아청소년과 기피 현상 심화로 전문의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발생하는 문제가 많다”면서 “부산시가 중등증(경증과 중증 사이) 소아 응급진료를 위해 병원 2곳에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는데, 1곳밖에 모집이 되지 않아 공모를 거듭하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부산시는 올해 소아응급의료기관 지원과 야간과 휴일·공휴일에 진료를 하는 달빛어린이병원 지원을 위해 총 19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시의 지원 확대로 지난해 4곳이었던 달빛어린이병원은 올해 7곳으로 늘었다. 하지만 중등증·응급 소아 환자가 발생 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남권에서 중증 응급 소아환자를 볼 수 있는 양산 부산대어린이병원 소아전문응급센터의 경우 응급 진료가 가능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6명에서 4명으로 줄어들면서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부득이하게 다음 달 6일부터 24시간 7일 진료 체제에서 월·화요일 야간 진료를 제외한 5일 진료 체제로 변경한 상황이다.
이 국장은 “소아청소년과는 저수가 정책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등의 이유로 전문의가 빠져나가고 있는 대표적인 필수과”라며 “이 분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다 보니 연봉이 높아져 의료기관이 더 어려운 만큼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설명했다.
근무강도가 높지만 그와 비교한 보상은 낮은 응급의학과 역시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국장은 “예전에는 환자를 싣고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응급실 뺑뺑이’라고 표현했는데 요즘은 환자를 적정 의료기관에 이송하기 위해 전화로 전원을 문의하는 사례까지 ‘뺑뺑이’라고 표현해 유감이다”며 “정확히는 ‘이송 지연 사례’인데 의정 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 이전에도 발생한 구조적인 문제인 만큼 장기적으로는 응급의료를 비롯한 필수 인력 자원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 답이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의정 갈등 이후 부산시와 시 소방재난본부, 부산 29개 응급의료기관이 참여하는 ‘핫라인’ 단톡방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2일 기준, 이 ‘핫라인’을 통해 47명의 환자 이송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다음 달에는 부산의 응급의료 정책을 만드는 응급의료지원단이 출범하고, 부산 의료 현실에 맞는 부산형 환자 이송체계 지침도 마련한다.
이처럼 정책적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의사 수 부족이라는 근본적 문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국장의 생각이다. 그는 “PA(진료 지원) 간호사 확충으로 일부 전공의 업무를 분담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의사 업무는 의사가 대체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언제든 코로나19와 비슷한 팬데믹이나 의료 공백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이 국장은 “부산시는 의료계 당사자와 소통을 이어가면서 평소 협의할 수 있는 상시 소통 체계를 강화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서부산의료원·부산시립아동병원 설립, 옛 침례병원 보험자병원 전환 등 부산 공공병원 과제도 산적해 있다. 이 국장은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한 정주 여건 개선이 중요하다”며 “부산시는 앞으로도 지역 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끝-
사진=정대현 기자 jhyun@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