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신공항,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도약 엔진 돼야
29일 벡스코서 신공항 비전포럼 개최
관문공항 위계 확보와 지역 주도 필요
가덕신공항건설공단 출범에 맞춰 신공항의 건설과 운영 방향, 비전과 발전 전략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가덕신공항 개발은 그저 지방 공항 하나를 더 건설하는 단순한 사업이 아니다. 신공항이 24시간 안전한 관문공항과 부산 경제 도약을 이끌 엔진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게 시민들의 오랜 염원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시점에 부산일보사와 (사)동남권관문공항추진위가 29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가덕신공항 비전포럼’을 갖고 신공항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에 나선 것은 뜻깊은 일로 평가된다. 이 자리에서는 가덕신공항 운영권 확보 및 지역 참여와 공항복합도시 구축 방안 등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져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 공항 운영은 국내선은 한국공항공사, 국제선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전담하는 보이지 않는 경계가 작용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인천공항을 통해 모든 장거리 국제노선을 장악하고 대형 항공사는 물론이고 LCC(저비용항공사) 허브까지 독점하는 구조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공단 출범이 향후 부산시가 주도하는 부산국제공항공사 설립으로 이어져야 한다. 건설 공사 과정에서부터 지역 업체의 참여를 늘리고 건설 후 공항 운영도 시가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부권 관문공항 위계와 독립적 운영권 확보는 2단계 확장과 글로벌 관문공항 육성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가덕신공항은 배후에 678만㎡에 이르는 공항복합도시를 아우른다. 애초 초대형 항만과 스마트 공항을 중심으로 글로벌 물류 기업과 비즈니스가 어우러지는 글로벌 물류 비즈니스 거점으로 추진됐다. 이를 통해 남부권 혁신의 동력인 글로벌 허브도시로 비상한다는 전략이다. 세계 물류 시장에서도 항만 대형화와 항공 운송 수요 증가로 해운·항공·육상의 글로벌 복합운송 거점화 경쟁이 치열하다. 이 때문에 공항과 항만 배후의 자유로운 투자와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한 부산형 특구 개발 등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공항 개발 과정에서도 스마트 물류 혁신이 반영돼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윤석열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핵심 전략은 서울 중심 수도권과 부산 중심 남부권의 두 경제 축으로 국가 발전을 이끈다는 것이다. 그 남부 경제권을 이끌 핵심 인프라가 가덕신공항이다. 가덕신공항 개발과 운영의 지역 주도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과 부산의 두 바퀴로 국가 성장을 이끌 듯이 인천공항과 가덕신공항의 두 날개로 국가 도약을 견인해야 마땅하다. 이를 위해 중앙 정부가 해야 하는 일은 신공항의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부산시 참여를 보장하고 가덕도를 중심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물류 허브가 조성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일이다. 이는 국가균형발전의 주요 전략인 남부 경제권 성장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