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 뷰] 바다 환경교육 최적지, 이점 살려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박지윤 삼미문화재단 이사장

기후변화 대응, 이미 전 지구적 과제
부산은 해양환경 관련 교육 최적지
민관 협력해 전문 인프라 구축해야

얼마 전에 벚꽃의 만개를 즐겼던 것 같은데 어느새 5월이다. 날씨마저 더워지면서 벌써 여름 더위를 연상케 한다. 기상청 등이 제작한 ‘2023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이상기온과 극한의 추위, 가뭄과 집중호우 등 양극화된 날씨로 인해 심각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겪고 있다.

이처럼 유례가 없던 이상기온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도 심각하다. 해수면 평균 온도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 기간 두 번째로 높았고 해수면 또한 199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양식 생물이 대량으로 폐사해 438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한다. 사계절 아름다운 경치와 뚜렷한 삼한사온(三寒四溫)을 자랑하던 우리나라의 전통적 기후 패턴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이런 기후변화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유엔이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에 대한 연례 보고서(2024)에 따르면 올해 세계 GDP 성장률은 2.7%에서 2.4%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느린 팬데믹 회복과 중동,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포함한 국지적 갈등과 함께 최근 기후 관련 피해와 임박한 기후 관련 위험 등 여러 요인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보고서는 또 올해에도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강렬한 폭염과 큰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쌀 생산량의 대폭 감소를 우려했다. 올봄까지 계속될 엘니뇨의 영향에 의한 태평양 표층수의 온난화로 인해 해양 생태계 조건에도 많은 변화를 예고했다. 이어 지구온난화로 중남미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어업이 중단될 가능성을 포함해 아시아의 강수 패턴도 영향을 받아 극심한 가뭄이나 홍수에 따른 농업 생산량에도 변화를 예상했다.

우리는 이미 각종 언론 매체나 신뢰성 있는 기관들의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금까지 너무 많이 접해왔으며 문제의 심각성도 깊이 느끼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심각한 지구의 아픔이 자신의 문제라고 인지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에서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모르고 있다.

전 지구적 목표로 ‘지속가능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가 유엔총회에서 채택되고 국가마다 이를 이행하기 위한 목표 설정과 인프라 강화 그리고 각종 제도의 재정비가 시도된 지 8년이 됐다. 하지만 많은 국제기구의 연구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2030년까지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현 추세로는 달성 가능한 세부 목표가 15%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한국의 SDG 이행보고서 2024).

그렇다면 과연 우리 부산은 지금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부산시도 2020년도에 ‘부산 지속가능 발전에 관한 기본조례’를 제정했다. 이를 근거로 ‘B-SDGs(부산형 지속가능 발전 목표)’ 수립을 통해 해양도시 부산에 맞는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고 해양생태계의 자연성과 건강성을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기후변화교육센터의 운영도 발표했는데 지금쯤 과연 이러한 정책들이 당초 설정된 목표에 제대로 접근하고 있는지 실태 조사 등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부산 방문객의 방문지 결정 호감도 조사 결과 수족관이 상위 순위에 있었는데, 실제로 연간 100만 명 이상이 부산의 수족관을 방문한다는 사실이 해양수산부 통계에 나타나 있다. 이는 부산이 자연스러운 바다 환경교육의 장소로 매우 적합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외국의 경우 지역 수족관은 단순히 해양동물의 보존과 전시, 관람의 차원을 넘어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등 청소년들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를 들면 호주의 모나쉬 수족관, 영국의 런던 수족관 그리고 미국의 어린이 박물관 등이다. 이들은 단지 평소 접하기 어려운 해양생물을 보는 곳뿐만이 아니라 해양오염의 실태와 현상 그리고 대안을 함께 체험할 수 있는 교육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내각부는 2018년 지자체들의 SDGs 사업 참여 독려를 위해 ‘SDGs 미래 도시’와 ‘지자체의 SDGs 모델 사업’을 시작해 올해까지 총 182개의 사업 대상을 선정했다. 각 지자체의 주요 산업과 여건 등을 고려해 민관 협력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만들어가는 중이다.

우리 부산도 민간 또는 NGO 단체와 지자체가 상호 협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적극적으로 나서고 지역 주민과 부산 방문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전문 교육환경 또는 인프라를 구축·운영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기후변화와 관련된 해양환경 보존 의식과 실천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곧 해양수도 부산의 위상을 정립하는 일이고 미래 세대에 아름답고 지속가능한 해양환경을 물려줘야 할 현세대의 책임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