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선에 시장 후보까지… 체급 높아지는 시당위원장
국힘, 재선급 맡아오는 게 관례
이번에는 3선 김희정 가능성도
국회 상임위 역할 배정 주 변수
민주, 박재호·최인호 유력 거론
유일 현역 전재수 등판할 수도
전대 이후 친명 밀어주기 관심
오는 30일로 예정된 22대 국회 개원이 다가오면서 부산 여야를 이끌 차기 사령탑에 시선이 쏠린다. 시당위원장은 실질적 권한이 적어 최근까지 비선호 자리로 여겨졌으나 ‘포스트 총선’ 국면에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2년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이끄는 만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초선인 전봉민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의 1년 임기는 오는 7월까지다. 하지만 전 위원장은 22대 국회 입성이 불발된 데다 부산 국민의힘이 총선에서 압승, 원내 인사가 늘면서 22대 개원일 전후로 조직 개편에 나서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그동안 시당위원장은 경우에 따라 특수한 경우는 있었지만 재선급이 맡아오는 게 관례였다. 이번 부산 국민의힘 당선인 가운데 재선은 5명이다. 지역에서는 부산 주요 현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이 시당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2030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불발 이후 정부 차원에서 ‘선물 보따리’를 줄줄이 약속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주도적으로 세부화해 나갈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업을 구체화해 나갈 ‘박형준 시정’과의 밀접한 소통 역량도 갖춰야할 조건으로 꼽힌다.
다만 변수는 부산 국민의힘 재선, 3선들의 국회 상임위원회 간사, 상임위원장 배정 여부다. 지역 여권 유일의 3선인 김희정 당선인은 여성인데다 개헌 저지선 사수 일등 공신인 부산에 지역구를 두고 있지만 국회의 연장자 우선 원칙으로 인해 하반기에 상임위원장을 맡을 수도 있다. 김 당선인은 국민의힘 3선 중 김성원(경기 동두천양주영천을) 의원에 이어 두 번째로 나이가 어리다.
재선 중에서는 2021년 시당위원장을 맡은 백종헌 의원을 제외하면 김미애, 박수영, 이성권, 정동만 의원 4명이다. 이들의 상임위 간사 활동 여부에 따라 시당위원장 후보들의 윤곽이 나타날 전망이다.
4·10 총선에서 18석 중 1석을 확보하는 데 그친 부산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8월 전당대회까지는 현 ‘서은숙 시당위원장 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다. 일각에선 총선 참패 이후 조속한 시당 정상화를 위해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기도 한다. 하지만 7월 지역위원장 선출, 8월 전당대회 일정 등의 물리적 시간을 감안하면 여의치 않다.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부산 야권에서는 2026년 제9회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 후보로 출마할 인사가 사령탑을 맡아 이끌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부산 민주당 인사 가운데 차기 부산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이들은 이번 총선에서 아쉽게 패배한 박재호, 최인호 의원 외에 류영진 전 식약처장 등이다. 그러나 이들 모두 부산 민주당 내 중량급 인사들로 경선 패배 시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이들 간 대결은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역 중심의 시당 조직 개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부산시장 후보 한 자리를 둘러싼 원외 인사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총선 참패 수습은 커녕 내홍에 휩싸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부산 유일의 현역이자 3선인 전재수 의원이 시당위원장직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구원 투수로 오를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상황에도 차기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선출에 있어 최대 변수는 전당대회다. 이미 중앙당이 친명 일색으로 꾸려진 가운데 이재명 대표의 연임 도전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이재명 선명성’을 강화하는 전당대회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내부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대의원들의 친명 인사 밀어주기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시당위원장은 대의원대회에서 선출하도록 돼 있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