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부산의 미래는 미래산업 전략에 있다
박재현 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부산 인구는 1995년 385만 명을 고점으로, 2023년 11월에는 330만 명 선이 무너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인천광역시 인구는 300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2년 지역소득’에 따르면 2022년도 인천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넘어선 104조 497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인천은 104조 2968억 원인 부산을 제치고 서울에 이어 특·광역시 중 경제 규모 2위 도시로 이미 올라섰다. 인구수가 줄어드는 것도 큰 문제지만 더 심각한 것은 인구구조 문제이다. 부산시는 특히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부산의 저출생,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고 있고, 2021년 전국 7개 특광역시 중 처음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1990년대에 부산은 이미 전략산업을 미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노력했지만 전환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금융, 항만 등의 산업으로 전환하려고 했지만 이 또한 미래를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부산의 미래는 미래산업에 있다. 부산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극대로 활용하면서 미래산업 유치, 재편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부산항과 가덕 신공항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물류체계를 활용하는 반도체 산업을 유치해야 한다. 미래 자율주행자동차나 스마트 시티 관련 기술을 리드하기 위해서는 비메모리반도체는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를 활용한 스마트 부품, 스마트시티 운영,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산업을 연동시키는 전략을 짜야 한다.
수도권은 K반도체 벨트에 600조 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K반도체 부흥을 이끌겠다고 발표했다. 수도권 집중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반도체 업체 경영진들과 이야기해 보면 반도체 산업 남방한계선을 이야기한다. 전에는 판교가 이야기됐고, 이후 용인으로 이제는 평택을 이야기한다. 뛰어난 인재들이 더 내려가면 오지 않는다는 논리이다. 우수한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수도권에 집중되다 보면 안정적인 물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금처럼 수도권에 집중적인 투자를 할 경우 안정적인 반도체 용수 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동남권은 물을 확보할 여력이 있다. 그리고 동북아 안보 위기를 대비해 국가 기반산업인 반도체 산업은 수도권 반도체 단지 집적보다는 지방으로 분산 유치할 필요가 있다.
대구경북이 미래로 달려가고 있다. 대구시는 3조 원, 1.5GW 규모의 ‘대구 스마트 산단 태양광 프로젝트’ 유치하고, 연구개발특구, 금호강 글로벌 수변도시 조성, 로봇, ABB(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트) 등 첨단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2023년 8월에 수자원공사에서 조성 중이었던 구미국가산업단지 5단지 1단계 54만 평의 공장용지가 모두 팔렸다. 한동안 분양되지 않았던 공장용지가 전량 분양된 이유는 무엇일까? 2030년 개통 목표로 진행되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이전으로 산업물류 방식에 대변화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이차전지, 소부장 해외기업들의 입주가 늘었다. 구미는 반도체 관련 소부장에 특화되고 있다.
부산은 이미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에 스마트시티 국가시범지구가 지정되어 있다. 시범지구는 스마트시티 기술을 현장에서 테스트하고 적극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 역량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수자원공사는 이미 스마트빌리지라는 리빙랩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새로운 항공물류시스템이 가동되게 되면 가덕신공항은 물류거점 관문공항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항공물류산업 자체뿐 아니라 이로 인한 연관 산업으로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구 감소, 특히 역피라미드형 인구구조의 어려운 상황에서 부산의 미래를 걱정한다면 미래 첨단산업 방향을 바꾸기 위한 범 정부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기후위기라는 어려운 상황을 동시에 맞는 부산지역은 도시 안전, 먹는물, 산업용수, 인재 양성 등 치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