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정부 공간혁신구역 공모, 양산엔 큰 기회
김태권 동부경남울산본부장
양산시, 부산대 양산캠·통도환타지아 신청
부산대·LH '매입가 갈등'에 악영향 우려
양산캠 개발 최적 기회, 입장 차 좁혀야
정치권·시민·시민단체 공동 대응도 필요
지난달 낙동강 하구 지역 6개 자치단체로 구성된 ‘낙동강협의회’와 함께 미국 뉴욕시 허드슨 야드를 벤치마킹하는 기회를 가졌다. 허드슨 야드는 250억 달러(한화 32조 원가량)를 들여 허드슨강변의 낡은 철도역과 주차장, 공터 11만㎡ 부지를 재개발한 곳이다. 도시재생 성공 사례로 소개되면서 우리나라 자치단체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허드슨 야드에서는 주거·상업·문화·업무시설이 복합적으로 들어선 20여 개의 독특한 초고층 건물을 볼 수 있었다. 뉴욕시가 합리적인 용도 지역 운용으로 이런 건물이 건축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벌집 모양 건축물 ‘베슬’은 고가철로에 조성한 공원 ‘하이라인’과 연결되면서 세계적인 명소로 탈바꿈했다.
국토교통부는 허드슨 야드나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처럼 규제를 전면 완화해 도시 변화를 꾀하는 ‘공간혁신구역(화이트존) 선도 사업’ 공모를 추진 중이다. 공간혁신구역은 국·공유지 등 사업 추진이 용이한 지역에 국토부와 지자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 시행자가 협력해 추진하는 공공주도 사업을 말한다. 사업에 선정되면 땅의 용도와 용적률, 건폐율 등 밀도를 자유롭게 계획해 개발할 수 있다. 노후 항만배후부지였던 싱가포르 마리나베이는 화이트존을 통해 주거·관광·국제 업무가 복합된 명소가 됐다. 인구 감소로 도심 공동화를 고심하는 지자체로선 눈길을 끌 수 있는 사업이다.
양산시는 정부의 공간혁신구역이 흉물로 방치 중인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54만 2000㎡)와 통도환타지아 부지(28만 8581㎡)를 개발할 좋은 기회로 보고 공모를 신청했다.
110만㎡의 부산대 양산캠퍼스는 2000년 4월 분양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양산신도시의 구원투수로 깜짝 등장했고, ‘분양 활성화’와 ‘지역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데 성공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부산대가 양산캠퍼스에 계획한 것들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불만이 쌓였고, 2015년 외부로 분출됐다.
이후 양산시와 정치권 등이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개발을 위해 연구시설을 유치하고 개발이 가능하도록 법까지 개정했지만 성과가 나지 않았다.
양산캠퍼스 유휴부지가 화이트존으로 선정되면, 4000가구의 주거단지와 연구단지, 문화시설, 공원 등이 들어선다. 윤영석 국회의원도 민자 6조 원을 유치해 의료 복합단지인 ‘양산 메디 허브 시티 개발’을 공약해 힘을 보태기로 했다.
영남 최대 규모 테마·놀이시설인 하북면 통도환타지아도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양산 경제의 ‘복덩이’에서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1993년 5월 개장한 통도환타지아는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을 이유로 휴장에 들어간 이후 지금까지 재가동을 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북 지역은 물론 양산 경제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고 있다.
시는 통도환타지아 재가동 방안을 찾았지만, 특혜 시비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 적극적인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공간혁신구역으로 선정되면 테마 빌리지와 복합테마파크, 스포츠콤플렉스 단지 등이 추진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통도사와의 시너지 효과도 커져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부산대 양산캠퍼스의 경우 LH가 유휴부지를 매입해야 하지만, 부산대와 매입가 입장 차이로 늦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경남도와 양산시, 정치권이 중재에 나섰지만, 양측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공간혁신구역 선정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통도환타지아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사례같은 문제는 없다. 하지만 기초자치단체 내 2곳의 후보지가 동시에 공간혁신구역에 선정되기가 쉽지 않다. 전국에서 워낙 많은 지자체가 공모를 신청했기 때문이다.
양산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산대와 LH 간의 입장 차이를 좁히기 위해 중재와 압박을 병행했으나, 지난 2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국회의원 당선인(2명)과 도·시의원 모두를 초청해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부산대와 LH는 경남도와 양산시, 시민 바람대로 공간혁신구역 선정이 흉물로 방치 중인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개발의 마지막 기회로 보고, 합의점 도출을 위해 전향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 지역 정치권과 양산시민, 시민단체 역시 부산대와 LH가 합의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압박하는 동시에 2곳의 부지가 공간혁신구역에 선정될 수 있도록 지역 실정을 정부에 알리고 설득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