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52년 부산은 진짜 '노인도시', 특단대책 시급하다
부산 인구 245만 명으로 25% 감소
도시·국가 역량 인구 문제 쏟아부어야
부산의 인구절벽과 지방소멸 우려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하지만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52년’을 보면 그 심각성은 충격을 넘어 절망스러울 정도다. 통계청에 따르면 부산 인구는 2022년 330만 명에서 2052년에는 245만 명으로 4분의 1 이상이 줄어든다. 경기도와 세종시만 인구가 늘어나고 나머지 15개 시도는 모두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지만, 부산은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도 감소율이 최고로 높다. 이런 속도라면 부산 인구 규모가 전국 3위에서 경남과 인천보다 낮은 5위로 추락하게 된다. 저출생과 함께 인구 유출, 초고령화라는 삼중고를 껴안은 부산은 도시소멸의 낭떠러지 끝에 서 있는 셈이다.
인구당 비율 불균형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4분기 부산 합계출산율은 사상 처음으로 0.59명으로 떨어져 참담한 저출생 실태를 드러냈다. 출생아 수가 줄어들면서 유소년인구(0~14세)는 34만 명에서 18만 명으로, 학령인구(6~21세) 역시 44만 명에서 21만 명으로 급감하게 된다. 같은 기간에 경제 활동의 핵심인 부산의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27만 명에서 120만 명으로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됐다. 좋은 기업도 일할 사람을 찾을 수 없게 된다는 의미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9만 명에서 2052년 107만 명으로 늘어나 둘 중의 한 명은 노인인 셈이다. 부산 인구를 연령순으로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은 2022년 47.5세에서 2052년에 60.5세로 상승한다.
문제는 이번 인구 예측이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를 괴멸시킬 ‘정해진 미래’라는 사실이다. 통계청 지표대로라면 부산은 도시 생존 자체가 암담하다. 28년 사이에 인구 25%가 줄고, 그중에 절반이 노인이라는 예측은 전쟁이나 흑사병, 천재지변과 같은 참담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인구의 급감하는 도시’는 존립 의미도 사라질 수밖에 없다.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소비 활력과 도시 역동성을 떨어뜨려 지역 경제 붕괴를 불러오고, 400만 명 수준에 설계된 지하철·도로·상하수도 등 도시 기반 시설 유지 및 노인 부양 부담이 극도로 커지게 된다.
부산 소멸의 시한폭탄을 멈추게 할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최선의 방안은 청년 인구 확보이다. 결혼해서 출산할 연령대가 수도권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상황에서 저출생 해법은 백약이 무효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지역 정치·경제계, 중앙정부는 지금까지 인구·도시 정책이 실패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대단한 각오로 새로운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 양질의 일자리와 혁신 기업 유치,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대책이 절실하다. 기존 인구라도 유지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이미 우리 곁에 다가온 도시소멸 위기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사람이 떠나는 도시는 미래가 없다. 부산과 국가의 모든 역량을 인구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