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비껴난 부산… 부산 비상장기업 93.6% “상장 계획 없다”
상장 계획·추진 기업 단 6.4%, 이들 절반은 5년 이후 상장 목표
3년간 전국 상장기업 410곳 중 부산은 단 6곳…특례상장 ‘전무’
부산지역 비상장 외부회계감사법인 10곳 중 9곳은 기업공개(IPO)를 통한 상장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적인 IPO 열풍을 크게 비껴난 셈이다. 대규모 자금조달을 토대로 한 기업 성장의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기업의 활발한 상장 노력이 요구된다.
부산상공회의소 4일 매출액 상위 500개 비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역기업 상장추진 실태 조사’를 발표했다.
실태 조사 결과 응답기업 251곳의 93.6%는 상장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산 기업들이 상장에 소극적인 이유는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 불필요(67.1%)가 가장 주된 이유로 꼽혔다. 상장요건 미충족(19.9%), 불안한 국내 증시(6.0%), 상장 유지에 따른 의무와 비용(4.5%)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조선기자재, 철강 등 제조업 중심의 지역산업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력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지 않은 데다가 신규 투자나 신산업 진출 등과 같이 대규모 자금조달이 필요한 기업도 많지 않은 것이다.
상장시 기업에게 가장 부담으로 작용하는 요소로는 자기자본 등 규모 요건에 대한 응답이 3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영성과 요건(24.7%), 안정성 및 건정성 요건(20.7%)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가 상장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 기업이 많지 않은 게 현실인 셈이다.
반면 상장 계획이 있거나 추진 중인 기업은 6.4%에 그쳤다. 상장계획이 있다고 답한 기업의 절반(50.0%)은 5년 이후 상장을 목표로 했다. 1년 이내 상장을 목표고 하고 있다는 기업은 단 한 군데도 없었다. 2008년엔 응답기업의 11.3%가 “상장계획이 있거나 추진 중”이라고 답했으며,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66.6%)이 3년 이내 상장을 목표로 답한 바 있다.
최근 3년간 전국 상장기업 410곳 중 부산 기업은 단 6곳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기술력이 뛰어난 회사의 상장을 돕는 기술특례 상장기업은 부산에선 한 곳도 없는 상황이다. 특례상장제도는 기술력과 성장성 평가 등을 통해 상장요건을 완화해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다. 지난 3년간 수도권의 기술특례 상장기업은 77곳에 이르는 데 반해 지역 기업 대다수(82.0%)는 특례상장제도를 모른다고 응답해 IT, 바이오 등의 첨단산업 분야의 벤처기업들이 이 제도를 활용해 상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상장에 대한 지역 기업의 소극적인 분위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영권 방어 환경 개선(36.3%)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장요건 완화(35.5%), 적정 공모가 형성(14.7%)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안정성과 지배구조에 대한 우려가 해소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IPO를 통한 상장은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미래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고, 기업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터닝포인트인 만큼 지역 기업이 상장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기업의 투자 확대와 성장은 지역의 산업인프라 강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큰 역할을 하는 만큼 기업의 외형과 미래성장성을 높일 수 있는 상장을 적극 권장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