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탄압에도 홍콩 곳곳에서 ‘톈안먼 35주년’ 추모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치외법권 독일 영사 등 거리로
현지인 ‘5월 35일’내걸고 항의
홍콩 경찰 선동 혐의 4명 체포
중국 “80년대 정치 풍파” 일축

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주재 중국대사관 앞에서 열린 톈안먼 사태 35주년 기념 행사에서 가이 포크스 가면을 쓴 남성이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중국 당국은 톈안먼 사태 관련 행사를 엄금했지만 해외 곳곳에서는 추모 행사가 잇따랐다. AP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주재 중국대사관 앞에서 열린 톈안먼 사태 35주년 기념 행사에서 가이 포크스 가면을 쓴 남성이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중국 당국은 톈안먼 사태 관련 행사를 엄금했지만 해외 곳곳에서는 추모 행사가 잇따랐다. AP연합뉴스

중국이 톈안먼 민주화 시위 35주년 추모를 원천 봉쇄한 가운데 홍콩에서는 일부 시민이 경찰의 검문에 연행되는 등 잡음이 일었다. 경찰 체포에 자유로운 일부 서방 외교관과 공관이 보란 듯이 추모 집회에 참석해 이에 맞섰다.

5일 홍콩 현지 언론에 따르면 톈안먼 민주화 시위 35주년 기념일인 전날 저녁 최소 5명의 홍콩 주재 서방 외교관들이 30년 넘게 톈안먼 시위 희생자 추모 촛불 집회가 열렸던 빅토리아 파크를 찾아 거닐었다. 빅토리아 파크에서는 톈안먼 시위 이듬해인 1990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6월 4일 저녁에 수만 명이 참여하는 촛불 집회가 열렸다.

홍콩 주재 유럽연합(EU) 사무소 부대표, 독일과 네덜란드 총영사가 함께 과거 촛불 집회가 열렸던 시간인 오후 7시 30분께 빅토리아 파크를 거닐었고 경찰은 곧바로 이들을 에워쌌다. 이들과 별도로 이날 밤 홍콩 주재 프랑스와 벨기에 총영사관 외교관도 함께 현장을 찾아 거닐었고, 일본 총영사는 자신이 빅토리아 파크를 거닐고 있는 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올리기도 했다.

이에 앞서 홍콩 주재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총영사관은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톈안먼 시위 35주년을 추모하는 메시지를 올렸다. 영국 총영사관은 1989년 6월 4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1면이 서서히 백지로 바뀌는 애니메이션 영상을 올리고 “35년 전 톈안먼 광장과 주변에서 벌어졌던 평화 시위가 비극으로 끝났다. 일부는 이를 역사와 기억에서 지우려 한다. 오늘 우리는 기억한다”고 썼다. 미국 총영사관과 EU 사무소는 사무실 창가에 전자 촛불을 밝혀놓기도 했다.

이에 앞서 홍콩 경찰은 전날 밤 거리에서 선동적인 의도로 구호를 외치고 경찰관을 공격했다는 이유 등으로 4명을 체포했다. 또 빅토리아 파크 인근인 코즈웨이베이 등에서 휴대전화 전등을 켜거나, 국가보안법 관련 책을 들고 있다는 이유 등으로 10여 명을 연행했다. 이 중에는 현장을 촬영하던 스위스 사진가도 포함됐다.

그러나 현지 서점 중 일부는 이날 양초를 6.4홍콩 달러에 판매하거나 ‘5월 35일’이라는 전시판을 내걸어 이에 항의했다. 5월 35일은 중국 당국 검열을 피해 시민들이 6월 4일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온라인상에서도 추모의 분위기는 이어졌지만 중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메신저 ‘위챗(중국판 카카오톡)’과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 등 소셜미디어들은 지난 1일께부터 프로필 사진을 변경할 수 없게 했다. 중국 포털에서 '톈안먼'이나 '6·4' 등 검색어로 톈안먼 시위 관련 정보를 찾는 건 불가능했지만, 대형 정치 행사 때나 간혹 있었던 소셜미디어 프로필 사진 교체 금지는 다소 이례적인 조치라는 평가도 나왔다.

이 같은 국내외 분위기에도 중국 당국의 입장은 1989년 톈안먼 시위를 '정치 풍파'로 격하하고 있다. 풍파의 사전적 의미는 '심한 분쟁이나 분란'이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호주 외교장관 등이 톈안먼 사건 35주년을 맞아 중국에 언론 자유 제한 중단을 촉구했는데 이를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 "지난 세기 80년대(1980년대) 말 발생한 그 정치 풍파에 대해, 중국 정부는 일찍이 명확한 결론을 내렸다"며 "우리는 누구든, 어떤 핑계로든 중국을 공격·먹칠하거나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에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고 답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