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뒤 한국 인구 2000만명 깨진다…30년 후 인구 매년 1%씩 감소
모든 시도 인구감소 가속…30년뒤 시도별 사망자, 출생아의 최대 6배
부산, 자연감소 인구 2022년 1만 3000명→2052년 3만 6000명
2052년 기준 인구감소율 가장 큰 지역은 울산…-1.54%로 예상
저출산(저출생)·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30년 후 우리나라 인구가 매년 1%씩 감소해 약 100년 뒤에는 2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30년 뒤 경북은 사망자 수가 출생아의 6배가 넘는 등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연감소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6일 통계청이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전망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54년 전국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년보다 1.03%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은 2022년 -0.19%에서 2034년 -0.20%, 2038년 -0.30%, 2041년 -0.42%, 2044년 -0.53% 등으로 점점 감소 폭이 커진다. 2046년 -0.62%, 2052년 -0.92%에서 2054년에는 1.03%로 감소율이 처음 1%를 넘어선다. 지금으로부터 30년 뒤부터는 매년 우리나라 인구가 전년보다 1% 넘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인구 감소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은 저출생·고령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가 빠르게 늘면서 인구가 매년 자연감소(출생아 수-사망자 수)하는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2022~2052년 인구 자연증가 규모 추이’를 보면 전국적으로는 자연감소 인구가 2022년 11만 4000명, 2032년 16만 명, 2042년 31만 1000명, 2052년 51만 2000명으로 확대된다.
부산은 2022년 1만 3000명이던 자연감소 인구가 2032년 1만 8000명, 2042년 2만 7000명, 2052년 3만 6000명으로 자연감소 인구가 늘어난다. 같은기간 울산은 1000명, 3000명, 8000명, 1만 2000명으로, 경남은 1만 2000명, 1만 8000명, 2만 9000명, 4만 명으로 자연감소 인구가 각각 늘어난다.
경북은 자연감소 인구가 2022년 1만 5000명(출생아 수 1만 1000명, 사망자 수 2만 6000명)에서 30년 뒤인 2052년에는 3만 7000명(출생아 수 7000명, 사망자 수 4만 4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의 6.3배에 달하는 것으로,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격차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를 특정 연도 인구로 나눈 자연증가율도 경북이 2022년 -0.57%에서 2052년에는 -1.71%로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기의 경우 자연감소 인구가 2022년 4000명(출생아 수 7만 4000명, 사망자 수 7만 8000명)에 그쳤으나, 30년 뒤인 2052년에는 12만 4000명(출생아 수 6만 2000명, 사망자 수 18만 6000명)으로 그 규모가 31배로 커질 전망이다. 2022년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3000명)가 사망자 수(2000명)를 웃돈 세종도 2045년부터 인구가 자연 감소하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및 국제 이동까지 고려한 인구성장률은 2039년 경기가 -0.01%를 기록하면서,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로 돌아선다.
2052년 기준 인구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으로 -1.54%로 예상됐다. 세종은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지만, 인구 유입으로 2052년 인구가 0.3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2022년 인구성장률(5.20%)에 비춰보면 크게 둔화한 수치다. 현재의 저출생·고령화 추이가 계속된다면 모든 시도가 '인구 소멸'을 걱정하는 처지가 된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2052∼2122년 시·도별 장기추계’에 따르면 약 100년 뒤인 2122년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국 인구가 1936만 명으로 2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은 2052년 54만 명에서 2122년 28만 명으로 감소한다. 2052년 1381만 명으로 유일하게 1000만 명을 웃돌았던 경기 역시 2122년 603만 명에 그칠 전망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