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한 중장년층, 단순 육체노동 일자리 재취업 많다
KDI 중장년 노동시장 현황 보고서
분석·사회 직무에서 반복·신체 직무로
직무 내용 성과에 따른 임금체계 필요
중장년층이 퇴직 후 재취업을 하게 되면 그동안 해오던 분석직무보다는 육체적 단순노동 일자리에 종사하는 경향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이가 많을수록 이런 경향성이 더 컸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지연 연구위원은 13일 ‘중장년 노동시장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연구는 직무를 5가지(분석·사회·서비스·반복·신체)로 나누고 연령대별 변화를 회귀분석했다. 20∼75세 남성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분석·사회·서비스 직무 성향은 낮아지고 반복적인 신체 직무 성향은 높아졌다.
특히 분석 직무 성향은 30대 취업자에서 가장 높았는데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다가 50대 이후의 감소 폭이 컸다. 연령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저숙련·저임금 일자리에 종사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직무 변화는 주로 실직·퇴직한 뒤 새로운 일자리를 찾게 되면서 발생했다.
50세 미만 연령대에서 이직한 경우에는 분석 직무 성향이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기도 했으나 50대 이상 연령대에서 이직할 때는 분석 직무 성향이 크게 하락했다.
나이가 들수록 업무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 아니냐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김 연구위원은 개인 생산성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해 도출한 결과임을 고려할 때, 단지 생산성 차이에 기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분석·사회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이 있는데도 그에 맞는 일자리에 채용되지 못하는 중장년층 근로자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현재 노동시장에서 중장년층이 보유한 인적자원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경우 근로자 연령과 근속연수가 함께 증가하고 분석 직무 성향도 50대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중년 이후에도 기존에 일하던 일자리서 같은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많았다.
보고서는 중장년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연공서열형 임금 체계 대신, 직무의 내용과 성과에 따른 임금체계를 확대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법정 정년 이전에 생애 주직장에서 일찍 퇴직하는 근로자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법정 정년 연장의 실효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