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 위해 특구 지위 사수하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기존 특구 연장하고 새 특구 지정 도전장
부산시 ‘투트랙’ 전략 결실 맺도록 최선을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 내 블록체인 기업의 업무지원 공간인 b-space. 부산일보DB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 내 블록체인 기업의 업무지원 공간인 b-space. 부산일보DB

올해 말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 지정 종료를 앞두고 부산시가 기존 특례 사업의 임시 허가를 받는 방안을 통해 특구 지위를 유지하겠다고 3일 밝혔다. 특구 기한을 연장하려면 기존 사업에 대한 임시 허가나 새로운 사업의 추진이 필수적이다. 부산시는 2021년부터 진행해 온 두 가지 특례 사업에 대해 정부로부터 임시 허가를 얻어낸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시는 정부가 신설하는 특구 사업에도 특구 지정을 신청했다고 한다. 특구 활성화에 사활을 건 부산시 전략이 목적한 바를 이루기를 기대한다. 물론 특구를 유지·설치만한다고 능사는 아니다. 특구를 통해 부산 미래의 발전 방향을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

이번에 부산시가 특구 활성화를 위해 들고나온 방안은 ‘투 트랙’ 전략이다. 우선 기존 특구의 연장을 위해서는 현재 진행 중인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집합투자 및 의료 비대면 데이터 관련 특례 사업의 임시 허가를 받는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접수를 마감한 중소벤처기업부의 새로운 특구 지정에 도전장을 던진 것도 주목된다. 특구 신청 자격이 확대된 덕분인데, 부산시는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시스템을 연계한 ‘부산 기후테크 블록체인 규제 특구’라는 이름으로 특구 지정을 신청했다. 투 트랙 전략이 기업 유치 확대와 산업 생태계 구축이라는 구체적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부산시가 끝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부산이 국내 처음으로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된 것은 2019년이었다. 블록체인 산업의 집적화가 이뤄지면 산업 생태계 구축과 미래 먹거리 확보, 지역균형발전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커다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당초의 청사진과 달리 블록체인 특례 사업 대부분이 결실 없이 철수하거나 종료되고 산업적 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 못한 게 사실이다. 사업 전략이 미비했던 데다 행정적 지원 역시 안일한 수준이었던 탓이다. 그러는 사이 인천, 대구 등 다른 도시들이 경쟁에 뛰어들어 치열한 자리다툼이 펼쳐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선발주자였던 부산이 더 이상 주도권을 놓쳐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산 특구 지정 이후 기업 50여 곳이 부산국제금융센터에 들어와 있다. 여기에는 기업 유치 전략에 따라 부산 바깥에서 이전해 온 기업도 15곳에 달한다. 특구 지정이 해제되면 이들에 대한 직간접적 지원은 끊어질 수밖에 없다. 기업 유치 확대를 위해서도 특구 연장은 절실하단 뜻이다. 또 다른 특구 지정에도 만전을 기해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야 함은 물론이다. 올 연말에는 국내 첫 디지털 자산거래소가 부산에 문을 연다. 블록체인 특구와 연계할 경우 블록체인 산업 발전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번 특구 전략은 디지털 금융과 블록체인 산업의 글로벌 허브 도시로 가는 기틀을 다질 중대한 기회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