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폐기 상징' 신한울 3·4호기 8년만에 건설 본격화(종합)
원안위, 3·4호기 건설허가…“최신기술 만족”
한수원, 13일 터 굴착 등 본격공사 착수
대통령실 “고사 직전 원전생태계 복원”
2032·2033년 완공…운영원전 30기로↑
신한울 원전 3·4호기에 대한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건설 허가가 12일 전격 이뤄짐에 따라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한수원은 12일 “(원안위로부터) 신한울 3·4호기 건설허가를 12일 취득하고, 13일 본관 기초 굴착과 함께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한다”며 “건설 시작에 앞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부지에서 관계사 임직원들과 함께 안전 다짐 결의대회를 개최해 명품 원전 건설,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해 힘쓸 것을 다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안위는 이날 오전 제200회 회의를 열고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안’을 허가했다. 이로써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으로 폐기 처지에 놓였던 신한울 3·4호기가 한수원이 건설 허가를 신청한 지 8년여 만에 건설이 본격화됐다.
허균영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위원장(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은 이날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안전 기준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기후변화나 지형 등 장기적 영향이 꼼꼼하게 검토돼 설계나 운영 이후에도 검사 등 주기적 평가를 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신한울 3·4호기는 국내에 7번째, 8번째로 건설되는 140만 kW(킬로와트, 1400MW)급 신형 원전인 APR1400 노형이다. 한수원은 2016년 신한울 3·4호기 건설허가를 신청했으나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017년 건설 중단이 결정되며 사업을 중단했었다. 이후 2022년 7월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에서 사업 재개가 결정됐고,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돼 지난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실시계획승인을 받았다.
신한울 3·4호기는 지난해 3월 주기기 계약을 체결하며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탈원전 정책 폐기, 원전 생태계 복원'의 상징이 됐다.
대통령실은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3·4호기 건설 재개에 대해 "고사 직전까지 갔던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고 원전 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허가는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한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따라 신규 원전 건설을 본격적으로 착수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 실시계획에 따르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사업은 2032·2033년까지 경북 울진군 북면에 140만 kW급 원전 2기를 짓는 프로젝트로, 약 11조 7000억 원의 공사비가 투입된다. 원안위의 건설 허가가 정부와 업계의 예상보다 빨리 나와 완공 시점이 다소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 현재 국내 원전은 26기가 운영 중이다. 건설 막바지인 새울 3·4호기와 건설이 곧 시작될 신한울 3·4호기까지 향후 투입되면 총 30기가 가동될 전망이다.
정부와 한수원은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하기 위해 공사에 주력해 완공 시기를 최대한 당기겠다는 방침이다.
원전 부지 공사와 별도로 원자로·발전기 등 '주기기'는 이미 수주사인 두산에너빌리티 공장에서 제작이 이뤄지고 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은 사실상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기기 계약 규모는 2조 9000억 원에 달한다.
정부는 신한울 3·4호기를 넘어 추가 신규 원전 건설 계획도 구체화하고 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인 태양광·풍력발전과 원전을 함께 늘려 오는 2038년까지 국내에서 만들어지는 전기 중 70% 이상을 '무탄소 전기'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지난 5월 공개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주요 무탄소 전원인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각각 2030년 31.8%, 21.6%를 기록하고, 2038년 35.6%, 32.9%로 높아진다. 현재 원전의 발전 비중은 약 30% 수준이다.
다만, 원전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수요지인 수도권까지 전기를 나를 송전망의 안정적 확충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영구 처분할 수 있는 방폐장 건설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