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피해 반복되는 온천천, 통합관리 필요성 제기
동래·금정·연제구가 나눠 관리
배수펌프장 건설 수백억 들어
기초지자체 재정 부담 불가능
시 저류시설 완공 7년 더 걸려
해묵은 난제인 부산 온천천 침수 문제가 좀처럼 답을 찾지 못하면서 반복되는 피해에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부산시가 하수저류시설 조성에 나섰지만, 완공까진 약 7년의 시간이 걸리는 만큼 그 사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 3개 구가 나눠 관리 중인 온천천을 부산시가 통합관리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23일 부산시에 따르면 도심형 하천인 온천천은 동래, 금정, 연제구에서 나눠 관리하고 있다. 폭우 시 침수를 막기 위해 배수펌프장을 설치하고 가동하는 것도 지자체의 몫이다. 현재 온천천 인근에는 동래구 7개, 연제구 4개의 배수펌프장이 설치돼 있으며 금정구에는 온천천 주변 배수펌프장이 없다.
부산에는 지난 20일 자정부터 21일 오후 8시 50분까지 370.6mm의 비가 내리는 등 시간당 최대 8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는데, 이때 온천천 인근 11개 배수펌프장이 모두 가동됐다. 그럼에도 온천천 물이 차올라 산책로가 통제되고 일부 구간에선 교각 아래 도로가 모두 통제됐다. 인근 지역에선 주민들의 무릎까지 물이 차오르며 도로와 차량, 상점과 빌라가 침수되기도 했다.
부산시는 대책 마련을 위해 용량이 40만t에 이르는 온천천 대심도 하수저류시설 건립을 진행 중이지만, 완공까지는 7년가량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는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해 지난달 환경부에 하수도정비 중점관리구역 지정을 신청했다. 다만, 사업이 잘 진행되더라도 대규모 공사여서 시간이 오래 걸려 완공은 2031년 상반기로 예상된다.
배수펌프장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해선 기초지자체가 나서야 하지만, 건설 자체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 재정 상황이 좋지 않은 지자체가 추가 설치를 진행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실제 배수펌프장 한 곳을 짓는 데에는 수백억 원이 소요된다. 지자체장의 신청으로 재해위험지역으로 선정되는 경우에는 국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기초지자체가 부담하기엔 사업비 규모가 너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부산시가 온천천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온천천을 행정구역에 따라 지자체별로 관리하다 보니 재정 부담 등으로 안전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시의회 안재권(연제1) 의원은 “현재는 기초 지자체가 태풍 등으로부터 시민안전을 보호할 방재 시설 마련에 적극 나서기 어려운 구조”라며 “서울 청계천처럼 온천천도 부산시가 나서 통합 관리하며 배수 시설 등이 부족한 곳을 파악하고 재정 지원을 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현재 통합 관리 방안은 논의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호우가 내릴 경우 시민들을 대피시키기에 기초단체가 더 접근성이 좋으며 통합 관리체계로 바꾸면 행정적인 부분도 재조정이 필요하다”며 “청계천은 인공으로 만들어진 하천이라 하나의 기관이 관리하기 용이하지만, 자연 하천인 온천천은 이미 각 지자체에서 시설물을 설치해 관리하고 있는 등 상황이 달라 청계천과 단순 비교는 어렵다”고 밝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