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 다른 지역처럼 교통카드 서비스 다양해지나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교통카드 업그레이드

기존 시스템 수십 년 사용한 부산
경쟁체제 도입해 기술 혁신 시도
현 사업자 영구 사업권 주장에도
법률 자문서 문제 없다 판단한 듯

부산시가 대중교통 시스템 혁신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새 교통카드시스템 사업자 공모에 나선다. 사진은 부산 동구 중앙대로에 시내버스가 오가는 모습. 정대현 기자 jhyun@ 부산시가 대중교통 시스템 혁신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새 교통카드시스템 사업자 공모에 나선다. 사진은 부산 동구 중앙대로에 시내버스가 오가는 모습. 정대현 기자 jhyun@

부산시가 1997년 현재의 교통카드 시스템이 구축된 후 27년 만에 새 사업자 공모에 나선 것은 첨단 모빌리티 서비스를 전면 도입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교통카드 시스템 운영에 경쟁 체제를 도입함으로써 대중교통 시스템의 혁신을 이끌어내고, 수송분담률을 높여 부산을 스마트 대중교통 친화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서울과 인천 등 전국의 지자체들은 교통카드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첨단 모빌리티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비롯해 택시 호출 서비스, 비접촉식 결제 시스템(태그리스), 고속버스·철도 등과 연계한 통합 교통수단 예약·결제, 공영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환승 할인 등 다양한 서비스가 상용화돼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높여주고 있다. 모빌리티와 모바일, 핀테크 등 첨단기술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연관 산업도 성장세에 있다.

부산시도 다양한 첨단 모빌리티 혁신 기술을 대중교통과 연계하고, 빅데이터 기반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부산형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MaaS)’를 구축해 대중교통 체계를 혁신하겠다는 구상안을 지난해 내놨다. 이를 통해 현재 44%에 머물러 있는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2030년까지 6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부산 교통카드 시스템은 세계적인 모빌리티 대전환 경쟁에서 뒤처진 채 여전히 초창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단적으로 부산에서는 동백전이 모바일 앱 기반으로 운영 중인데, 시민들이 교통카드로 이용하는 동백패스는 여전히 실물 카드 형식으로만 대중교통 결제를 할 수 있다. 현 시스템이 27년 넘게 단일 사업자 체제로 운영되다 보니 대중교통 시스템 혁신이나 투자를 촉진할 만한 유인이 약하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현 교통카드 시스템 사업자와 체결한 협약이 내년 8월 만료되는 것에 맞춰 공개경쟁 입찰 방식을 통해 새 사업자를 선정하기로 했다. 교통카드 시스템 구축·운영에 경쟁 체제를 도입해 모빌리티 기술 혁신과 서비스 개선을 이뤄내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이번 공모를 통해 △동백패스 연계 모바일교통카드 개발 △비접촉식 결제 시스템 태그리스 시스템 운영 △버스·도시철도 통합 정기권(1·2·3·7·30일권) 시스템 구축 △김해·양산선 연계와 거제·창원 추가 환승 등 광역환승체계 확대 △조조·심야할인 등 탄력 요금 도입 등을 이끌어내겠다는 구상이다.

공모 절차가 시작되면 전국의 교통카드 시스템 사업자들이 다양한 첨단 서비스와 지역 사회 공헌 방안 등을 제시하며 사업권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시 관계자는 “지역 사회 기여, 차별화된 시민 서비스 향상, 대중교통 활성화, 교통약자 이동권 확대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엄정 심사해 시민 편의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최적의 사업자를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시가 공모에 나서기까지는 진통도 적지 않았다. 현 사업자가 교통공사와 부산버스운송사업조합으로부터 사업권을 인수했다며 교통카드 시스템 운영에 대한 영구 사업권을 주장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부산교통공사, 버스조합에서 법률 자문을 받고, 법리 검토를 거쳐 새 사업자 공모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시 관계자는 “현 사업자는 교통카드 시스템 사업권의 독점·배타적 권한이 없고, 2005년부터 시가 교통카드 시스템 사업자를 선정하는 과정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으로 결론 났다”며 “이에 따라 시는 시민 편의 증진과 절차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사업자 선정 공모를 본격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