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기 “희생자·사망자 표현,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국회 운영위, 대통령실 국감
국정상황실, 용산서에 5회 지시
김대기 “대통령 보고 2~3분 후 인지”
대통령, 행안부 장관과 직접 통화
경호처, 관저 인력 배치 참사와 무관
국회 운영위원회가 8일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실, 경호처를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실시했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처음으로 대통령실이 국감 무대에 나온 것이다. 특히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책임 소재, 대통령실과 경찰, 소방청 등 기관들 사이의 보고체계 난맥상 등이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진땀을 뺐다.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사고 당일 윤석열 대통령이 첫 보고를 받은 지 2~3분이 지난 다음 자신도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장으로부터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국정상황실장의 대통령 보고 전에 상황을 알고 있었느냐’는 질의에 “(국정상황실장이)워낙 급박한 상황이라 대통령에게 먼저 보고하고 저한테 보고했다”고 답했다.
보고 방식에 대해선 “국정상황실장한테 전화로(보고받았다)”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소방청의 통보로 상황을 확인한 국정상황실장으로부터 오후 11시 1분 유선으로 첫 보고를 받았다. 이후 자택에서 유선으로 2차례 지시를 한 다음 용산청사로 나와 긴급상황점검회의를 주재했다.
김 비서실장은 윤 대통령이 첫 보고 이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 남화영 소방청 직무대리 등과 직접 통화하거나 상황 보고·지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대통령 지시가 있은 다음에 대통령이 행안부 장관과 직접 통화하고, 행안부 장관이 경찰, 소방 등 관계기관들에 지시사항을 배포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정상황실 행정관들을 통해 행안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장에게도 보고가 됐고, 경찰청 치안상황담당관에게도 보고가 됐다. 그래서 (밤)11~12시 사이에 엄청나게 많은 일이 일어났다”며 “그러다가 결국 유선으로 하기가 어려우니까 12시 반에 용산청사 위기관리센터로 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비서실장은 정부가 공식 문서 등에서 이태원 ‘참사’ 대신 ‘사고’, ‘희생자’ 대신 ‘사망자’라고 표기한 데 대해 “중대본에서 실무자들이 그렇게 썼는데 저희는 지금 그 용어가 그렇게 크게 중요하지 않다”며 “재난안전법에 있는 법률적 용어를 중립적으로 쓴 것 같다”고 말했다.
대통령실과 경찰 사이 보고·지시 시각과 내용도 구체적으로 공개됐다. 국정상황실은 사고 당일 오후 11시 18분 먼저 경찰청 치안상황담당관에게 전화했다. 사고 현장에서 사상자가 발생한 지 1시간 넘게 지난 뒤였지만, 경찰청 치안상황담당관은 여전히 “서울경찰청과 소방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답했다.
2분 뒤인 오후 11시 20분에는 서울 용산경찰서장에게 전화했으나 받지 않았다. 11시 25분 용산경찰서 112 상황실장 역시 전화를 받지 않았다. 용산경찰서 지휘 계통이 사실상 마비된 상태였던 것이다. 국정상황실은 이와 별도로 오후 10시 53분 소방청 상황실에서 사고 내용을 통보받고, 오후 11시 1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를 마친 뒤였다.
국정상황실은 이후 용산경찰서장에 계속 전화를 걸어 오후 11시 26분 통화에 성공했으나, “상황 파악 중”이라는 답변을 들었다. 4분 뒤인 오후 11시 30분 용산경찰서장에게 다시 전화를 걸었을 때도 “상황 파악 중”이라는 답변뿐이었다.
국정상황실은 오후 11시 32분 용산경찰서 112 상황실장과 통화에 성공, “수십 명이 심정지 상태에 있고, 추가 피해 발생 등 심각한 상황”이라고 인지하는 점을 확인했다. 오후 11시 20분부터 12분 동안 용산경찰서 측에 다섯 차례 전화를 걸어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지시를 하달하려 시도했던 셈이다.
한편 대통령 경호처는 참사 원인을 인근 한남동 관저의 경찰 인력 배치와 연결짓는 야권의 시각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김종철 대통령 경호처 차장은 ‘경호처 인력 배치 때문에 참사가 더 커졌다는 유언비어가 있지 않으냐’는 질의에 “사실이 아니다”고 답했다. 그는 “자세한 인원 현황을 보고드릴 수 없지만 한남동에 200명이 (배치돼)있었다는 것은 부풀려졌다. 그보다 훨씬 적은 인원이 있었다”며 “경호인력 전체로 보면 기존 청와대에 있던 경찰력과 유사한 규모로 운영한다”고 설명했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