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BIFF, 30년 채비 쇄신안 내라[BIFF, 위기를 기회로]
올해로 28회째 맞고도 내홍 심각
시스템 없는 인사 등 곳곳 경고등
이사장 권한 집중 부작용도 방치
영화계 스스로 대책 세울지 주목
24일 임시 이사회 등 분수령 될 듯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공동 위원장’ 체제로 무리한 전환을 강행하다 위기에 빠졌다. 올해 28회 행사를 앞둔 BIFF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체계적 인사·행정 시스템을 갖추고, 다가오는 30주년을 맞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BIFF는 지난 11일 허문영 BIFF 집행위원장이 갑작스러운 사의를 표하면서 격랑에 휩싸였다. 올해 영화제를 넉 달 남짓 남겨 둔 시점에서 행사 준비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 9일 ‘공동 위원장’ 체제 전환과 조종국 신임 운영위원장 임명이 사태의 시발점이 됐다.
조 위원장 임명과 관련해 BIFF 내부에서는 물론, 지역 영화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지만 BIFF 이용관 이사장이 인사를 강행하는 바람에 내홍이 불거졌다. 이 이사장은 결국 지난 15일 기자회견을 열어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절차상 하자가 있다는 지적을 받은 인사의 철회나 쇄신안 제시는 없어 사태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부산 지역 영화계는 잇따라 성명을 내고 ‘조종국 사퇴’와 ‘이용관 즉각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22일에는 BIFF 사태에 대응하는 지역 영화계 연대 발족을 위한 회의가 열린다. 부산영화문화네트워크와 영화학과 교수협의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 등이 참석해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지역 영화단체가 연대와 공동 대응에 나서는 것은 2014년 ‘다이빙벨’ 사태 이후 처음이다. 부산독립영화협회 오민욱 대표는 “이번 BIFF 사태에 대한 의견을 모아 연대를 결성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정해 의사 표명 등에 나서려 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BIFF 안팎에서는 ‘터질 게 터졌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동안 쌓인 낡은 조직 문화, 예산 문제, 시스템 부재와 인사 갈등 등이 ‘공동 위원장’ 체제 전환을 기점으로 터져 나왔다는 것이다.
‘다이빙벨’ 사태 후 BIFF가 민간에 이양돼 자율성은 커졌지만, 권한이 이사장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정관의 문제 등은 지속적으로 지적을 받아 왔다. 부산시장이 조직위원장을 맡고, 집행위원장이 영화제를 이끌던 기존 체제가 사단법인으로 전환된 후 권력이 이사장 1인에게 과도하게 쏠리게 됐다는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매년 60억~90억 원에 달하는 국·시비를 지원받으면서도 감시와 견제에는 허술하다는 비판도 나왔다.
〈부산일보〉는 새 시리즈 ‘BIFF, 위기를 기회로’를 통해 BIFF의 문제를 분석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새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19일에는 지역 영화계, 학계, 문화계, 시민단체 인사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열었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BIFF는 오는 24일 임시 이사회를 열기로 했다. 이번 이사회 안건은 별도로 제시되지 않았다. 영화계 안팎에서 요구하는 ‘신임 운영위원장 임명 철회’와 같은 구체적 쇄신안이 나올지 주목된다.
이자영·이우영·남유정 기자,김은영 선임기자 2young@busan.com
이자영 기자 2young@busan.com ,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 김은영 선임기자 key66@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