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해역·국내 수산물 안전”… 해수부, 국민 불안 해소 총력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세종청사서 ‘소통 계획’ 발표

7개 팀 구성해 ‘상황관리반’ 운영
13일 부산 등 권역별 설명회 개최
국민 누구나 방사능 정보 메일링
올해 말까지 검사 장비 대폭 확충
생산·유통단계 모니터링도 강화

전국어민회총연맹과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이 주최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반대 집회’가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인근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전국어민회총연맹과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이 주최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반대 집회’가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인근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방류가 임박한 가운데 해양수산부가 ‘수산물 안전 알리기’에 사활을 건 모습이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12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을 운영하고 ‘권역별 수산물 안전 현장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을 골자로 하는 ‘수산물 안전관리 주요 소통계획’ 을 발표했다.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한 근거 없는 주장으로 인해 우리 국민들이 근거없는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수산업계 등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학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과 직접 소통하며 우리 수산물의 안전함을 알리겠다는 취지다.

우선, 해수부는 수산물 안전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불식시키기 위해 ‘수산물안전관리과’ 중심의 기존 조직을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으로 확대 개편했다.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은 수산정책실장을 중심으로 수산물 안전관리, 안전소비, 국민소통 등 주요 분야별로 7개 팀을 구성해 활동할 계획이다. 철저한 안전관리, 적극적인 소통, 투명한 정보 공개·유통 등 국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한다.

또 13일 부산(오후 2시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대회의실)을 시작으로 14일 경남(오후 2시 경상남도 수산안전기술원, 통영 소재), 16일 서울·인천, 20일 경기, 21일 강원, 23일 전남, 27일 충청·전북, 28일 제주, 29일 경북 등 권역별로 ‘수산물 안전 현장 설명회’를 연다. 설명회에서는 어업인과 유통관계자에게 해수부가 수산물 안전관리 방안을 직접 설명한다. 이 자리에서 수산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고충과 요구사항을 주의 깊게 청취하며 소통할 계획이다.

설명회 참석이 어려운 어업인을 위해 향후 어촌계를 직접 방문해 현장 설명회도 추가로 진행한다.

‘수산물안전 국민소통단’과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방사능 검사 정보 메일링 서비스’도 지속해서 운영한다.

해수부는 국내 해역 92개 정점 모니터링과 함께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에 대해 3중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해역 방사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생산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전년 목표(4000건)보다 2배 이상 확대(8000건)해 시행 중에 있다.

송 차관은 “수산업계 등 현장을 시작으로 모든 국민들이 수산물 안전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적극 소통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철저한 수산물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한 수산물만 공급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송 차관은 "여러 차례 설명했듯 우리 해역과 국내 수산물은 안전하다"며 "절대 부적합한 수산물이 국민 식탁에 오를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이후 해수부는 약 3만건의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진행했다"며 "국내 기준이 국제 기준보다 10배 이상 엄격하지만 단 1건도 부적합 수산물은 발생하지 않는 등 안전하게 관리 중"이라고 강조했다.

생산단계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 장비와 관련해서는 "현재 해수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더해 29대이며, 올해 말까지 9대를 추가 도입해 38대로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수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삼중수소 분석 장비를 포함해 생산단계 방사능 검사 장비를 총 53대까지 늘릴 방침이다.

송 차관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에도 국내 수산물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하느냐’는 질의에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유출된 방사능 오염물질의 양이 이번 오염수에 포함될 것으로 보이는 양보다 많지만, 특별히 문제 되지 않았다는 말로 답변을 대신했다.

송 차관은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4∼5년 후 국내 해역으로 유입되고 10년 후 일정 수준에 도달한다"며 "2011년에 사고가 났으니 5년 뒤인 2016년과 10년 뒤인 2021년에 유의미한 수치가 나와야 했으나, 해수와 수산물은 (관련 수치에 있어) 사고 이전과 똑같았다"고 말했다.

송 차관이 언급한 시뮬레이션은 지난 2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발표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말한다. 이에 따르면 방출된 오염수 중 삼중수소는 4∼5년 후부터 한국 바다로 유입돼 10년 후 ㎥당 0.001 Bq(베크렐) 내외에 도달한다. ㎥당 0.001 Bq은 국내 해역의 삼중수소 평균농도인 ㎥당 172 Bq의 약 10만분의 1 수준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