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로 갈린 2만 중공군 포로… 제주는 이념 전쟁의 장이었다[끝나지 않은 전쟁]
[한국전쟁 정전 70년 한신협 공동기획] -제주 포로수용소
거제도 수용 중공군 포로 내부 이념 대립
유혈 충돌 잇따르자 제주도로 옮겨 분리제주비행장 친공 포로 시위로 45명 숨져
경비 맡은 미군과 갈등… 인근 주민 불안
모슬포 반공 포로 문신 새겨 대륙행 거부
대만 정부 포로에 위문품 보내 체제 선전
2만 중공군 포로는 제주도에 왜 왔을까? 3년 1개월(1129일) 동안 벌어진 6·25전쟁에서 중공군 포로는 약 2만 1700명으로, 미군 포로 4439명보다 5배나 많았다.
전쟁이 한창일 당시 포로수용소는 육지와 떨어진 섬인 제주도가 후보지였다. 1950년 말 중공군의 공세로 서울을 다시 빼앗기자 제주도의 포로수용소 설치는 유력해졌다. 다만, 리지웨이 미8군사령관은 제주도가 피란민으로 만원이 됐고 이 섬은 임시정부가 들어설 최후의 보루로 여겨졌기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결국, 육지와 비교적 거리가 가깝고 물 공급이 가능한 거제도가 포로수용소로 낙점됐다. 휴전 협상이 진행되고 전쟁이 끝날 조짐이 보이자 생포되거나 항복한 포로 송환은 쟁점이 됐다. 포로수용소는 냉전과 이념 대결의 축소판으로 또 다른 전쟁터였다.
2만 명에 달했던 중공군 포로들은 반공(反共)과 친공(親共)으로 대립했고, 서로를 죽이고 학대하는 유혈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폭동과 유혈 사태가 끊이지 않자, 유엔군사령부는 1952년 2월 ‘분리 작전’에 돌입했다. 그해 7월까지 약 2만 명에 이르는 중공군 포로를 거제도에서 제주도로 보냈다.
당시 중화민국(대만)으로 가길 원했던 반공 포로 1만 4000여 명은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 지역에, 중화인민공화국(중국)으로 송환을 원했던 친공 포로 5900여 명은 제주비행장(현 제주국제공항) 부지에 수용됐다.
친공 포로들은 1952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3주년을 맞아 시위를 벌였다. 미군 2개 소대가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포로 45명이 사망하고, 120명은 부상을 당했다. 유엔군사령부는 “폭동(시위)은 집단 탈주를 위해 시작됐으며, 포로들은 탈옥 후 한라산 빨치산과 합류할 계획을 세웠다”고 발표했다. 이 사건 이후 경비를 맡은 미군과 친공 포로의 갈등이 심화됐고, 포로수용소 주변에 살았던 주민들은 불안감에 떨어야 했다.
반공 포로가 수용된 모슬포 지역에서 유혈 사태가 일어났다는 기록은 없다. 하지만 주민들은 사제 수류탄 폭발, 포로끼리 패싸움 후 시체 유기 등의 사건을 언급하고 있어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당시 모슬포에는 육군 제1훈련소(1951~1956년)가 설치됐고, 한국군도 포로수용소 경비 업무를 맡았다. 지붕으로 얹은 양철판 밑에 기름을 먹인 종이(루핑)를 바른 수용소 환경은 열악했다.
“포로수용소 건물은 나지막하고 검은 루핑 지붕이어서 여름철에는 실내 열기가 대단했다. 나무판자로 물방아와 비슷한 선풍기를 만들어 포로들이 줄을 교대로 당기며 바람을 만들었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미군 부대를 출입했던 이발사 서병수 씨가 당시 수용소의 열악한 사정을 증언한 내용이다.
중공군 포로들은 채소밭을 일궜고, 미군의 감시 아래 수용소 인근 송악산에 오르거나 바닷가에서 미역을 채취하기도 했다. 설리반 군종신부는 이들을 교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포로들은 늪지를 매립하고 돌을 나르며 모슬포성당 건립 공사에 투입됐다.
성당이 완공되자 ‘통회의 집’으로 불렸다. 포로들이 한국에 많은 피해를 입힌 죄를 뉘우치며 지은 집이라는 뜻을 담았다. 나중에는 사랑으로 포로들을 용서하자는 의미로 ‘사랑의 집’으로 변경됐다.
1953년 6월 8일 전쟁 포로 송환 협의가 이뤄졌고,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됐다. 국공내전에서 마오쩌둥에게 패해 대만으로 쫓겨 간 장제스 국민당 정부는 정전협정 체결 전인 1953년 초부터 반공 포로와 교섭하며 이들의 대만 송환을 준비했다.
1953년 7월 29일 대만 정부는 제주에 있는 반공 포로들에게 출판물, 영상물 제공과 함께 위문단 파견을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 중공군 포로의 대만행은 국민당 정부가 내전에는 졌지만, 이데올로기에서는 승리했다고 선전할 수 있는 기회였다. 한 달 후인 8월 28일 대만 정부가 파견한 위문단이 제주도에 도착했다. 대만 공군은 수송기 8대를 동원, 37t의 위문품을 전달했다. 당시 대만 언론에 소개된 위문품은 1인당 설탕 1홉, 소고기·채소 통조림 1개, 파인애플, 바나나 2개, 러닝셔츠 1벌이었다.
1년 남짓 제주도에 수용된 1만 4000여 명의 반공 포로들은 대륙 행을 거부하며 팔뚝에 ‘반공’이나 ‘살주발모(殺朱拔毛)’ 같은 문신을 새겼다. 홍군 총사령관 주더(朱德)를 죽여 버리고 마오쩌둥(毛澤東)을 없애겠다는 뜻이다.
반공 포로 1만 4000여 명은 제주도를 떠나 1954년 1월 20일 인천항에서 미군 수송선에 올랐다. 1월 23일 대만 지룽항에 도착한 이들은 반공 의사로 대접받았다.
한편, 제주비행장에 수용됐던 친공 포로 5000여 명도 선박과 육로를 통해 1953년 8월부터 9월까지 본국으로 돌아갔다.
좌동철 제주일보 기자 roots@je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