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 국힘 지지율 추락… 정치 변화 원하는 민심
민주, 3년여 만에 전국 과반 확보
PK도 46.3%로 40.3% 국힘 앞서
윤 대통령 지지율도 35% 밑돌아
정부 견제론 점점 거세지는 형국
당 쇄신안 여론 싸늘… 총선 비상
윤석열 대통령 국정 지지율과 함께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이후 3년여 만에 50%를 넘는 과반 지지율을 회복했다. ‘정권 견제론’ 여론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스윙 스테이트’(경합 지역) 성향이 뚜렷해진 부산·울산·경남(PK)조차도 여당 외면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22대 총선을 6개월 앞두고 정부·여당이 국민을 설득할 만한 ‘대전환’ 카드를 내지 못하면 총선 전망이 어두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0∼13일 전국 18세 이상 20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6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이달 초 직전 조사보다 3.7%포인트(P) 내린 34.0%로 집계됐다. 긍정 평가가 35% 밑으로 내려간 것은 지난 5월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2.4%P 오른 62.2%였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다. 무선(97%)·유선(3%) 조사를 병행했고 응답률은 2.1%다.
전국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당 지지율 조사(무선97%·유선3% 방식 응답률 2.0%)에서도 국민의힘은 직전 조사 대비 4.3%P 내린 32.0%, 민주당은 2.9%P 오른 50.7%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이번 정부 들어 최저치를 찍었다. 민주당은 2020년 4월 이후 약 3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50%대로 진입하며 확실한 상승세를 보였다.
PK 여론도 점차 민주당 우세로 기울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PK 지지 정당은 민주당 46.3%, 국민의힘 40.3%로 조사됐다. 여당이 우세를 보인 두 달 전 조사(민주당 40.9%, 국민의힘 41.3%)와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대략 총선을 6개월가량 앞둔 시점의 여론조사 추이는 실제 선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2008년 18대 총선부터 지난 21대 총선까지 선거 6개월 전 시점의 당 지지율이 높았던 정당들이 선거에서 승리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재 여당으로선 국정 지지율이 30%대 중반에 머무는 대통령 지원을 기대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리얼미터 과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총선 6개월 전 박 전 대통령 긍정 평가는 46.9%를 기록했다. 21대 총선 6개월 전 문 전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40%다. 현재 윤 대통령의 긍정 평가는 30%대 중반에 머물고 있다.
오히려 ‘정부 견제’ 여론이 강화되는 분위기다. 한국갤럽이 지난 10~12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상대로 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질문한 결과, ‘현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9%에 그친 반면, ‘현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48%로 집계됐다. 민주당이 압승을 거둔 21대 총선 상황과 비슷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조사의 응답률은 14.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이런 여론이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결과로 확인되면서 여야 희비가 엇갈린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당 쇄신을 비롯한 여론 전환이 절실하지만 제대로 대응하는지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날 내놓은 여당의 당 쇄신안을 향한 여론부터 싸늘하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인선한 ‘2기 지도부’는 당내 호응마저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했다. “책임져야 할 사람이 쇄신하려 한다”는 강성 비판도 나온다. 민주당으로선 여권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고도 반사이익을 누리는 형국이다.
여권은 향후 인재영입을 비롯한 공천 과정을 어떻게 끌고가느냐가 마지막 기회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정부 여당에 불리한 여론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혁신 공천과 인재 운용 등 국민을 설득할 만한 행보를 보여줘야 승부수를 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에 인용한 자료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