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학구제로 지역 간 교육 격차 풀어 봅시다”
[부산 교육격차 토론회]
부산일보·시교육청 공동 토론회
고질적 동서 교육 격차 해소 격론
기존 대안 뛰어넘는 제안 쏟아져
지역 맞춤형 혁신 필요성에 공감
이전 공기업 사장단도 참여 눈길
부산 교육의 해묵은 문제인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기존의 낙후지역 시설 개보수 형태의 예산 투자를 넘어 '핀포인트’ 방식의 ‘지역 맞춤형 혁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부산일보〉와 부산시교육청이 18일 공동 주최한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토론회’에는 학부모, 현직 교사, 시민단체 회원 등 250여 명이 참석해 부산의 지역 간 교육 격차 극복을 위한 논의를 이어 갔다. 이날 부산 사상구 학장초등학교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광역학구제 도입, 원도심·서부산에 특목고·자사고 신설, 학업성취도 평가 부활 등 교육 생태계 변화를 통해 격차를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하게 제기됐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신라대 사범대 김희규 교수는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일부 지역에서 선도적으로 광역학구제를 도입하는 게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거 단지, 문화 시설이 밀집된 우수 학군 이외 지역에 살더라도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서부산·원도심 일부 지역을 지정해 우수 학군을 집중 육성하는 형태로 교육 인프라를 갖추면 이외 지역에서도 교육 여건 개선의 파급효과가 생겨날 수 있는 점도 강조됐다.
구체적으로 서부산·원도심의 우수 학군 형성을 위해 특목고 신설, 학업성취도 평가 부활, 동 단위의 특색 있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대안도 제시됐다. 실제로 서부산·원도심에는 상위권 학생이 진학하는 특목고, 자사고가 전무하다. 또한 서부산·원도심 사이에도 교육 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김 교수는 “동서 격차가 지속된다면 부산 교육의 역량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노후 지역 예산 붓기식 정책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존 지역의 교육 개선을 위한 다행복지구 정책 같은 마을공동체 수준의 정책을 넘어 교육지원청 등에서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는 대안도 제시됐다.
이날 포럼에는 하윤수 부산시교육감, 장제원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 권남주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이순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등 부산 금융 공기업 사장단도 참석해 교육 격차 해소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하 교육감은 "동부산에서 서부산으로 전학을 오고 싶을 만큼 서부산의 교육 여건 개선에 집중하겠다"며 "동서 교육 격차를 극복해 교육 균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서부산의 열악한 교육 현실에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시기가 됐다. 이번 토론회를 기점으로 정부의 지역 중심 교육 정책 가속화 등의 변화를 통해 교육 격차 해소를 반드시 이뤄 내야 한다”고 밝혔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