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청신호… 대중 실리 외교 전략 찾는 윤 대통령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3국 개최 위한 내부 준비 작업 중
하반기 경제 활성화 사활 건 정부
최대 무역국 중국과 관계 중요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도 관심

윤석열(왼쪽)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기간 중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왼쪽)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기간 중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한미일 정상회의를 통해 3국 협력을 공고화한 가운데 중국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고민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미일 3각 공조를 글로벌 안보·경제 협력의 중심축으로 삼으면서 국익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중국과의 다각적 교류를 통해 외교적·경제적 실리를 챙기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3일 대통령실과 외교부에 따르면 최근 한중일은 정상회의 개최를 위한 준비 작업을 내부적으로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올해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 역할을 맡았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9년 중국 청두에서 열린 후 한일 관계 경색과 코로나19 등을 이유로 4년째 열리지 않았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3월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계 개선에 합의하면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한중일 세 나라는 최근 조속한 고위급 협의체 재가동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달 31일 통화에서 3국 정부 간 협의체의 조속한 재가동과 외교장관 간 셔틀외교 차원의 상호 방문 등에 합의했다.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관측이 가능해진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과 일본 모두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적극적인 입장을 보인다. 한중일 3국 협력 체제가 가동되는 데 특별한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며 “3국 간에 여러 가지 갈등 요소가 돌발적으로 불거지는 것이 문제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협력하자는 쪽으로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외교당국 부국장급 회의, 고위직 회의, 장관급 회의 등을 거치게 되는데 실무선에서는 상당 부분 진척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포함한 중국과의 관계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는 첫 번째 이유는 경제 문제다. 중국은 여전히 한국의 최대 무역국이다. 하반기 국정의 중심을 경제 활성화에 둔 윤 대통령으로서는 ‘중국 리스크’를 관리하지 않고는 목표를 달성하기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한미일 3국 정상은 지난달 미국 캠프 데이비드 공동성명에서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불법적 해상 영유권 주장을 뒷받침하는 위험하고 공격적인 행동과 관련해 인도·태평양 수역에서 어떤 일방적 현상변경 시도도 강하게 반대한다”고 적시해 중국을 겨냥한 바 있다. 중국 역시 이 같은 한미일 공조에 불만이 없지 않지만 미국에 대항해 역내 독자적인 경제질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무한정 적대시할 수만은 없다.

이런 점 때문에 윤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윤 대통령은 5~11일 인도네시아와 인도를 방문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중국의 경우 관행적으로 아세안 정상회의에는 총리, G20 정상회의에는 주석이 참석했다.

시 주석은 이번 G20 정상회의에 불참할 가능성이 높아 양국 정상이 당장에 마주 앉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하지만 오는 11월 미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때 두 정상의 대면 기회는 열려 있다. 윤 대통령이 한중일 정상회의와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과 새로운 차원의 관계 설정에 성공한다면 한반도는 물론 인·태 지역 정세의 안정적 관리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