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조선산업 활성화 통해 K-조선 경쟁력 높여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빅3’ 호황에도 지역 업계 침체 여전
지역사회·정부 하나 돼 지원 나서야

부산 지역 조선소에서 건조한 선박 인도 장면. 부산일보DB 부산 지역 조선소에서 건조한 선박 인도 장면. 부산일보DB

‘부산 조선산업 상생발전을 위한 민관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지난 16일 출범했다. 조선·기자재·설계와 함께 연구·금융 등 조선업과 직간접으로 연결된 부산의 16개 기관이 대거 참여한다. 부산시와 부산상공회의소가 쌍두마차 역할을 맡아 기관들 사이 협의를 주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협의회는 이날 국내 조선업에 요구되는 현안을 담은 공동선언문도 채택했다. 부산 조선업계로서는 전에 없던 협력 창구가 마련된 셈이라 만시지탄이나마 반기는 기색이 역력하다. 하지만 이처럼 매머드급 민관 협의체가 꾸려져야 할 정도로 지역 조선업의 위기가 긴박한 상황임을 새삼 확인하게 돼 씁쓸하기도 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던 부산 조선업의 위상은 근래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원자재 가격 폭등에다 인력난까지 겹쳐 현장에서는 “배를 만들어도 적자만 본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다. 지난해 대선조선이 워크아웃에 들어간 사실은 지역 조선업의 이런 실태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올해 들어 선박 수주 물량이 쌓이면서 국내 조선업에 모처럼 훈풍이 분다고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빅3’로 불리는 대형 조선업체에 국한된 이야기다. 자본과 기술력이 밀리는 지역 조선업체들은 침체에서 좀체 벗어나지 못한다. 특히 부산의 경우 공유수면 점·사용료마저 최근 급격히 상승해 지역 조선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부산 등 지역 조선업의 침체는 우리나라 전체 조선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13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가 그 증거다. 부가가치 등을 창출하는 능력인 가치사슬 경쟁력에서 중국 조선업이 줄곧 1위를 달리던 우리 조선업을 제치고 선두에 섰다는 것이다. 다른 부분에서도 그렇지만 특히 선박 수주량에서 중국의 약진이 눈부시다. 세계 시장에서 수주 점유율이 지난달 우리는 14%에 그치는데 중국은 무려 76%였다. 상선 선복량에서도 중국은 우리의 4배가 넘는다. 조선업 부흥에 국가적 역량을 쏟은 중국과 달리 우리는 지역 조선업의 피폐를 눈으로 보고도 방치했으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하겠다.

협의회가 이날 채택한 선언문에는 부산 조선업의 발전을 위해 ‘인력 양성 안정적 공급’ ‘차세대 초격차 기술 확보’ ‘조선산업 생태계 고도화’ 등에 대한 절박함이 담겨 있다. 모두가 부산 조선업을 되살리기 위한 필수 요건들이다. 그에 앞서 부산시는 2030년까지 조선업 육성에 1조 3694억 원을 투입할 계획임을 지난 2월 밝힌 바 있다. 남은 건 현장에서 그런 지향점과 재정 계획을 효율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부산시를 비롯해 지역 상공계가 환골탈태의 자세로 힘을 모아야 한다. 부산 등 지역 조선업계가 살아나야 세계에서 우리 조선업의 리더십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새로운 전략과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