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에어부산 분리매각 현 단계서 어렵다” 재확인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곽규택 의원실 간담회서 불가 밝혀
“대한항공 동의 필요” 책임 떠넘겨
지방공항 허브 구축 공염불 우려

조경태 의원도 대한항공 측과 면담
최정호 부사장 원론적 입장만 반복

국민의힘 조경태(왼쪽) 의원이 5일 대한항공 최정호 부사장과 면담했다. 조경태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조경태(왼쪽) 의원이 5일 대한항공 최정호 부사장과 면담했다. 조경태 의원실 제공

산업은행이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대해 “현 단계에서 어렵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산은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승인 이후 분리매각에 대해서도 “대한항공 동의가 필요하다”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은 합병 이후 “부산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심도 있는 검토를 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산은은 5일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실과의 간담회에서 에어부산 분리매각 불가 입장을 밝혔다. 곽 의원 측에 따르면 산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간담회에서 “에어부산 분리매각은 현 단계에서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승인 이후 에어부산을 분리매각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대한항공의 동의가 필요하며 동의할 경우 산은이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산은이 에어부산 분리매각 결정권을 대한항공에 넘긴 발언으로 ‘책임 떠넘기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산은은 2020년 11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통합’을 발표하면서 통합이 이뤄지면 ‘국적항공사의 경영 정상화’가 되고 ‘지방 공항을 기반으로 한 세컨드 허브(Second Hub) 구축 및 통합 후 여유 기재를 활용한 지방 공항 출·도착 노선 확장 등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산은은 4년 가까이 끌어온 합병의 마무리를 앞둔 상황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 지방 공항 허브 구축에 대해 대한항공 동의가 필요하다며 물러서는 모습이다.

산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합병 승인 이후 모든 의사 결정은 대한항공이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산은의 태도에 대해 곽 의원실 관계자는 “오직 산은, 대한항공 입장만 강조하면서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대해 희망 고문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사실과 다르거나, 확실치 않은 얘기로 부정적 여론을 전파하려 한다면 특단의 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고 강력 비판했다.

산은이 ‘책임 떠넘기기’에 나선 가운데 대한항공은 에어부산 생존에 대해 “에어부산이 가지는 상징성과 역할을 잘 알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대한항공 최정호 부사장은 이날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과의 면담에서 에어부산 분리매각 등에 대해 이렇게 말하면서 “앞으로 대한항공은 부산에서 인력 고용 등 항공업계로서 충분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사장은 에어부산의 ‘생존’에 대해 “아시아나항공과 운수 통합 이후 통합 LCC 등 부산 지역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심도 있는 검토를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어부산 분리매각이나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셈이다.

대한항공에선 이미 조원태 회장이 통합 LCC 본사를 인천에 두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조 회장은 2022년 외신 인터뷰에서 “통합 LCC는 진에어 브랜드로 운영될 것”이라면서 “통합 LCC의 허브가 되는 인천을 중심으로 운항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 LCC의 모항이 인천공항이 된다는 설명이어서 통합 LCC 부산 유치는 사실상 좌절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항공 측은 5일 조경태 의원과의 면담에서도 통합 LCC 부산 유치에 대해 답하지 않고 부산에서의 고용 확대를 강조했다. 이는 부산 강서구의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테크센터 고용 효과를 강조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지역 항공사인 에어부산의 분리매각 등 독자 생존이나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에 대해 대한항공이 의지를 보이지 않으면서 지역 항공사 소멸 우려는 커지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조 의원은 “2029년 가덕신공항이 조기 개항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신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가 꼭 필요하다”면서 “에어부산이 계속 부산을 대표하는 항공사로 남을 수 있도록 기업 차원에서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지적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