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기법 경쟁 국가관, 지역 건축 발전 20년은 앞당긴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30 엑스포 부산에서!] D-29
엑스포 효과 - 지역 건설 특수

참가국마다 수백억 넘게 투자
건설 과정서 현지업체 협력 필수
5조 원대 천문학적 경제 효과
사업 참여 경력만 해도 큰 발판
당대 유행하는 건축물 경연장
도시 미관 획기적 변화 효과도


각국이 경쟁적으로 국가관을 짓는 2030세계박람회를 부산이 유치할 경우 지역 건설업계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두바이엑스포 한국관. 두바이엑스포 홈페이지 각국이 경쟁적으로 국가관을 짓는 2030세계박람회를 부산이 유치할 경우 지역 건설업계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두바이엑스포 한국관. 두바이엑스포 홈페이지

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이벤트’라고 불린다. 그만큼 행사를 유치한 국가와 도시에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참가국마다 국가관을 짓게 되는데, 이에 따라 지역 건설업계가 큰 수혜를 입는다. 여기에 각 나라의 기술이 총집약된 예술작품과 같은 건축물이 대거 들어서 도시 미관이 업그레이드되는 효과도 있다.

■국가관 건설 현지 협력은 필수

2030월드엑스포가 부산에 유치되면 국내 첫 등록엑스포가 된다. 1993년 대전, 2012년 전남 여수시에서 열린 엑스포는 인정엑스포였다.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의 차이는 규모에서도 나지만 건물에서도 난다. 인정엑스포에서는 참가국이 독립적인 국가관을 건설할 수 없고 개최국이 지어서 임대하는 공간만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등록엑스포에서는 참가국이 수백억 원에서 최대 1000여억 원을 들여 직접 전시관을 짓는다. 특히 국가관은 그 국가의 설계, 소재, 시공 기술 등을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그 자체로도 중요한 전시품이기에 각 국가는 더욱 신경을 쓴다. 등록엑스포였던 2020두바이엑스포에서도 각 국가가 경쟁적으로 국가관을 꾸몄다.


국가관은 기본적으로 현지의 규정과 법에 맞게 지어야 한다. 이 때문에 지역업체와의 협업이 필수다. 2020두바이엑스포 당시 한국관은 5년간 총 232억 원의 건축비를 들여 4651㎡(약 1400평)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지어졌다. 두바이엑스포 한국관은 무유기건축사사무소가 설계하고 쌍용건설이 시공했고, 한미글로벌이 CM·감리를 맡았다. 설계사와 시공사가 있었지만 이와 별개로 현지에도 설계와 감리 파트너가 따로 있었다. 이는 국가관 건설 과정에서 엑스포조직위원회는 물론 건축 관련 인허가를 받기 위해 현지 법을 잘 아는 현지업체의 협력이 필수였기 때문이다.

대한전문건설협회 부산시회 김세원 회장은 “엑스포 특성상 비슷한 시기에 공사를 시작하게 된다. 공사 물량이 한꺼번에 몰리면 하도급 참여가 늘게 된다. 지역 접근성 등을 고려했을 때 부산 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국내 건설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지역업체에게도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지 조성·건축에만 5조 원 경제효과

통상적으로 엑스포가 열리면 45~50개국이 국가관을 짓는다. 개최국은 자국 국가관, 공연장 등 공동으로 사용할 건물도 마련한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는 2027~2030년 부지 조성 및 건축 단계에서 약 5조 3000억 원의 경제 효과가 생기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덕분에 1만 8000여 명의 일자리도 생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가덕신공항을 비롯해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고속도로 중앙선 안동~부전 구간 등 대형 인프라 개발이 이어지면 경제 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이지 않는 무형의 이득도 있다. 대한건설협회 부산시회 정형열 회장은 “지역에는 기술은 좋지만 실적이 부족해 실력보다 더 낮게 평가받는 업체가 많다”며 “엑스포 관련 사업에 참여했다는 것만으로도 중요한 실적이 돼 지역업체 성장에 큰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설계, 디자인 등 다양한 부분에서 지역업체가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건축사협회 부산건축사회 최진태 회장은 “엑스포가 유치되면 세계에서 가장 유행하는 기술과 디자인이 접목된 건축물들이 부산에 생기는 것”이라며 “이러한 기술과 디자인을 직접 현장에서 보는 것만으로도 지역 건축기술 발전을 20년 이상 앞당기게 된다. 이 건축물 덕분에 도시 미관 역시 크게 바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