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청정지역 경남을 사수하라”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경북과 부산에서 발병한 상태에서 청정지역 유지 ‘안간힘’
폭염에도 멧돼지 이동 차단위해 유해조수포획단 투입

경남도는 ASF를 예방하기 위해 양돈농가 주변에 대한 소독과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ASF를 예방하기 위해 양돈농가 주변에 대한 소독과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청정지역인 경남을 사수해야 합니다.”

경남도는 ASF가 발생한 경북과 부산지역 인근에서 멧돼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유해조수포획단 운영과 함께 드론을 활용한 멧돼지 기피제 살포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이같은 차단 노력은 최초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ASF가 중국을 거쳐, 북한으로 유입된 후 산맥을 따라 한반도 남쪽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ASF를 남쪽으로 확산시키는 매개체가 야생 멧돼지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경남과 인접한 경북과 부산에서 이미 다량의 감염이 확인된 상태여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경남도는 올해 6월 15일 경북 영천시내 돼지사육 농가에서 ASF가 발생한 이후, 7월 2일 안동시, 7일에는 예천에서도 발생하면서 경남지역 유입 여부에 촉각을 곧두세우고 있다. 특히 2022년까지 101건에 불과하던 경북지역 ASF 발생건수는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야생 멧돼지와 사육농가 등에서 906건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더욱이 부산은 지난해 12월 처음 확인된 이후 최근까지 25건으로 늘어났다. 특히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면서 도심이 많은 부산까지의 감염 경로도 미스터리로 남아 방역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지난해 12월 14일 금정구 회동동 산에서 포획한 야생 멧돼지에서 처음 양성이 확인된 이후, 올해 4월까지 모두 25마리의 야생 멧돼지에서 ASF가 확인됐다. 2019년 한국에서 ASF가 처음 발병한 이후, 부산에서만 5년 만에 25건이 확인된 셈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경남은 최근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경북과 부산에 인접해 있지만 현재까지 ‘청정지역’이라는 타이틀을 아슬아슬하게 유지하고 있다.

경남도는 돼지 사육이 많고 산맥으로 연결된 경북에서의 야생 멧돼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포획에 집중하고 있다. 포획을 통해 멧돼지 서식밀도를 낮추기 위한 고육책이다. 경남도는 경북과 인접한 밀양, 창녕, 거창, 합천을 중심으로 야생조수포획단을 집중 배치하고 있다. 도는 멧돼지 포획을 통해 2019년 기준 산림지역 서식밀도를 ㎢당 2.29마리에서 2023년에 1.051마리로 낮췄다. 도는 서식밀도를 0.7마리 이하로 낮추기 위해 최근 폭염에도 불구하고 야생조수포획단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 특히 드론을 활용해 야생돼지 이동경로 파악과 포획에 톡톡한 효과를 보고 있다는 게 경남도의 설명이다. 합천군은 올해 6월 24일 양돈밀집사육단지 주변에 드론으로 야생멧돼지 6마리를 관측하고 야생조수포획단을 출동시켜 포획하기도 했다. 또 드론으로 농장주변에서 야생 멧돼지들이 싫어하는 기피제를 수시로 살포하고 있다.

한편, ASF에 감염되면 이름 그대로 초기에는 대부분 고열 증상이 나타난다. 돼지는 보통 체온이 38도에서 38.5도 정도가 정상인데, ASF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40~42도까지 올라가면서 폐사에 이르게 된다.

경남도 강광식 동물방역과장은 “경남을 ASF 청정지역으로 사수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면서 “외부인의 농장출입을 자제하고 도로변 차단방역에도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