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 다음 지도자는 ‘도살자’… 휴전 협상 난항 예상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하마스, 강경 투쟁 노선 고수
‘강경파’ 야히야 신와르 선출
이스라엘 군 살해 종신형 이력
네타냐후가 2011년 석방 조치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6일 암살된 이스마일 하니예 후임으로 가자지구 하마스 수장인 야히야 신와르를 임명했다. 2021년 3월 가자지구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신와르의 모습. EPA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6일 암살된 이스마일 하니예 후임으로 가자지구 하마스 수장인 야히야 신와르를 임명했다. 2021년 3월 가자지구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신와르의 모습. EPA연합뉴스

하마스가 이스마엘 하니예의 뒤를 이을 최고 정치지도자로 강경파 야히야 신와르(62)를 선출했다. 지난해 10월 이스라엘 남부 기습공격으로 가자전쟁을 촉발시킨 신와르는 이스라엘의 제1 제거대상이다. 난항을 거듭해온 가자지구 휴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하마스는 6일(현지시간) 텔레그램 성명에서 “지도자 신와르가 정치국장으로 선출돼 순교자 이스마일 하니예의 뒤를 잇게 됐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인 1200명을 살해하고 250여 명을 인질로 잡았던 작년 10월 기습공격의 설계자인 그를 정치국장에 임명한 것은 하마스가 대이스라엘 강경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신와르는 1962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의 난민촌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현재 이스라엘 남부 아슈켈론에 해당하는 옛 팔레스타인 마즈달 아스칼란 지역에서 살다가 쫓겨났다. 그후 신와르는 1987년 하마스 창립에 참여해 보안조직을 맡았다. 이때 주로 이스라엘에 협력한 팔레스타인인들을 색출해 잔혹하게 죽이는 활동을 하며 '칸유니스의 도살자'로 불리며 악명을 떨쳤다.

1988년 이스라엘 군인 2명을 살해한 신와르는 이듬해 이스라엘 법원에서 종신형 4회를 선고받았다. 22년간 복역하며 여러 차례 탈옥을 시도한 그는 2011년 이스라엘 당국이 하마스에 인질로 붙들려 있던 이스라엘 군인 길라드 샬리트와 포로 교환을 할 때 풀려났다.

그리고 지난해 10월 하마스 무장조직 알카삼 여단 사령관인 무함마드 데이프 등과 함께 이스라엘을 기습하는 '알아크사 홍수' 작전을 실행해 1200명을 살해하고 250여 명을 납치했다.

2011년 당시 신와르의 포로 교환을 승인한 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다. 2022년 재집권한 네타냐후 총리로선 결과적으로 자신이 풀어준 인물이 현재 가자지구 전쟁을 일으킨 핵심 인물이 돼 돌아오게 하는 뼈아픈 실책을 저지른 셈이다.

전쟁 발발 이후 신와르의 행방은 여전히 묘연하다. 그러나 그는 이번 지도자 선출로 가자지구, 서안 그리고 해외 망명 중인 최고 의사결정기구 슈라위원회 위원 50인의 선택을 받아 이스라엘과의 휴전 및 인질 석방 협상 관할권까지 공식적으로 손에 넣으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강경파 신와르가 이스라엘과의 휴전 및 인질 석방 협상의 방향타를 쥐면서 하마스는 향후 휴전 협상에서 더욱 강경한 모습을 보일 것이며, 이것이 더욱 단호하고 강경한 이스라엘의 반응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가자지구를 이끌어온 무자비한 신와르를 정치국장으로 선택한 것은 이스라엘 입장에선 도발적인 조치로 보일 수 있으며, 교착 상태에 빠진 미국 주도의 휴전 및 인질 석방 협상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 CNN 방송도 신와르를 정치국장으로 선출한 하마스의 결정이 휴전 협상에 좋지 않은 소식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이미 신와르가 협상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협조를 촉구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미·호주 외교·국방 장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도움이 절실한 수많은 팔레스타인을 분명히 도울 휴전을 추진할지에 대한 결정은 정말 그에게 달려 있다”면서 “지금이 결정적인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일단, 미국은 자신들이 주도적으로 중재하는 가자 휴전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와 있으며, 조만간 긍정적인 결론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하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주도하는 이스라엘은 이런 저런 요구 조건을 추가하면서 사실상 휴전 협상 타결을 일부러 피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