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조 경제 효과 엑스포는 부산 ‘콴툼 점프’ 도약대 [2030 엑스포 부산에서!]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30 엑스포 부산에서!] D-29

소득 창출·취업 유발 효과 기대
북항 재개발로 도심 연계 극대화
고질적 공간 단절 문제 극복 가능
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사 역할도

2030부산세계박람회 행사장 예상도. 부산엑스포유치위원회 제공 2030부산세계박람회 행사장 예상도. 부산엑스포유치위원회 제공

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의 부산 유치는 부산이 ‘콴툼 점프(압축성장)’를 이뤄내고, 나아가 대한민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유치 성공부터 박람회 개최까지 71조 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거두게 되고, 박람회장인 부산항 북항이 개발되면서 도심을 단절시키는 시설이 이전해 부산 도심 대개조가 완성된다. 더불어 부산은 청년이 몰리고 세계가 주목하는 도시로 활력을 찾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9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이번에 부산이 유치 도전장을 낸 2030월드엑스포는 등록박람회로 열린다. 등록박람회는 개최 기간이 최대 6개월로 길고 전시 규모가 무제한이며, 주제 역시 사람과 관련된 모든 것을 다룰 수 있다. 시는 다음 달 월드엑스포 유치에 성공한다면 이후 2025년 박람회장 토지 취득 및 보상 단계부터 2030년 박람회 개최까지 5년 동안 약 71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2025~2027년 약 25조 원의 토지보상금이 토지 소유자에게 지급되며, 이 보상금이 지역으로 다시 유입돼 지역소득 증가, 소비 및 저축 증가, 투자 확대, 생산·고용 창출 효과 등을 이끄는 이른바 ‘지역승수효과’를 계량적으로 추정하면 9조 7000억 원의 지역 소득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이후 2030년까지 박람회장 부지 조성과 건축 단계에서는 4조 158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1조 1423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합해 총 5조 3003억 원의 경제 효과와 1만 8000명 이상의 취업유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정됐다. 이어 월드엑스포가 개최되는 2030년에는 행사 운영과 관광객 지출을 통해 56조 5029억 원의 경제효과와 48만 6000명 이상의 취업유발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시는 또 엑스포 개최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및 제조업 기술 발전상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메타버스,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차세대 기술을 한국 기업이 선도해 나가는 무형의 경제효과도 기대한다. 시는 더불어 박람회장 개발을 계기로 도심 공간구조를 크게 개조할 수 있다고 본다. 항만과 철도, 군사시설 등으로 이뤄진 부산항 북항은 배후지역인 원도심(동구)과 단절돼 있는데, 이 시설들을 이전하고 원도심과 북항을 연결하면 이 일대가 열린 공간으로 바뀌어 서면~박람회장~원도심으로 이어지는 도시재생 축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박람회장으로 활용될 자성대부두와 양곡부두, 관공선부두 등이 이전하고, 엑스포 주차장으로 고려되는 부산역조차장, 부산진역CY부지에 이어 22만 ㎡ 규모인 55보급창 부지 이전이 추진되고 있다. 또 우암고가교, 영주고가교가 철거될 예정이며, 부산진역 연결통로 신설과 초량 1·2 지하차도 확장 개선 등도 계획 중이다.

시는 또 엑스포 개최 이후 박람회장 부지인 북항 재개발구역 1단계, 2단계와 우암부두 및 ODCY 부지를 각각 복합문화지구, 비즈니스지구, 해양산업·연구개발지구로 조성한다는 구상도 마련하고 있다. 시는 박람회장 부지를 글로벌 허브도시 성장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2024년까지 이 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부산엑스포 개최가 수도권 집중 문제와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부산을 중심으로 한 ‘부산·울산·경남 경제 동맹’ 논의가 엑스포를 계기로 추동력을 얻는다면 부산을 중심으로 남부권 발전축이 공고해질 수 있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